논문 상세보기

송국리취락 ‘특수공간’ 의 구조와 성격 -大形 掘立柱建物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special area' in Songgug-ni site

송국리취락 ‘특수공간’ 의 구조와 성격 -대형 굴립주건물을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송국리유적의 남서쪽에 해당하는 54지구는 1974년 이래 가장 집중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특히 서쪽으로 뻗은 舌狀의 구릉성 대지는 주변조망이 용이한 곳인데, 삭토와 성토공사로 대지를 정지, 확장한 후 목책을 설치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최근 시행된 조사를 통하여, 목책으로 인식되었던 주열의 성격이 대형 굴립주건물로 판명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하는 특수한 구획시설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이 시설은 대지의 북동쪽과 남동쪽에 각각 11×1칸의 대형 굴립주건물을 배치하고 건물의 주위와 대지의 서쪽을 견고한 鬱柵으로 둘러싼 특이한 구조를 띠고 있다. 건물을 둘러싼 울책의 내외에 前庭과 廣場을 두고 망루로 추정되는 주혈군과 1×1칸의 굴립주건물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이 공간이 취락 내에서 특별히 구별된 공간으로서 격리·보호·방어적 성격과 함께 공공 집회를 염두에 둔 광장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송국리 취락이 수전 농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취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형 굴립주건물은 곡물을 저장, 보관하는 고상창고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함께 농경과 관련한 의례행위도 함께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즉, 송국리취락의 특수공간은 생산물의 저장·관리공간인 동시에 의례공간으로 판단 된다.

The Songgug-ni assemblage,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Late Bronze Age in Korea, takes itsname from the site of Songgug-ni, in Buyeo. Since its discovery in 1974, 12 seasons of excavationhave been carried out at the site, bu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has yet to be achieved.The 'special area', consisting of pile buildings and a fence structure, which was discovered dur-ing the most recent season of excavation is therefore of great significance.Square, rectangular and round houses were also identified during excavation, but they do notappear to have been contemporary to the special area. This area is thought to have prepared for storage of crops and agricultural ritual, therefore canbe considered as space of ritual and of management in Songgug-ni settlement. The fact that a round house was found intruding into the special area indicates that the latterpredated the former, and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regarding the temporal position of this'special area'.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송국리유적 54지구의 조사 성과
  1. 조사 현황
  2. 54지구의 새로운 양상
 Ⅲ. 송국리유적 54지구의 공간구조와 성격
  1. 구조 및 선후관계
  2.‘ 특수공간’의 성격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鄭治泳(한국전통문화학교 전문위원) | 정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