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교 공동체로서의 농촌교회와 통전적 선교 가능성 연구 - 농촌교회의 통전적 선교를 위한 필수요소 KCI 등재

A Study on the Holistic Mission of the Rural Church as the Missional Community - The essential factors for the Holistic Mission of the Rural Chu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299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4.2.4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6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본 논문은 ‘한국 농촌에서 통전적 선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농촌교회들이 있는가? 있다면 그들의 동기, 목적, 특징, 및 당면 과제들은 무엇인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선교적 통찰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한국 농촌교회에 보편적인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먼저 통전적 선교의 신학적 근거가 되는 통전적 선교신학, 선교적 교회론, 웨슬리의 통전적 선교실천을 간략하게 서술한다. 그리고 실제로 오늘 한국 농촌에서 통전적 선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여섯 개의 농촌교회들을 사례연구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들로부터 농촌교회의 통전적 선교를 위한 필수 요소들을 정리한다. 그것은 (1) 정주목회자(定住牧會者); (2) 선교적 교회론(선교적 자기정체성); (3) 지역사회의 필요에 대한 이해; (4) 성육신적 선교의 실천; (5) 통전적 선교의 수행; (6) 교회 안팎 사역의 균형; (7) 도시교회, 농촌교회, 교단본부, 신학교 간의 유기적 연대이다. 오늘 한국의 농촌은 절망과 희망, 위기와 기회, 쇠퇴와 가능성이 함께 공존하는 선교현장이다. 농촌사회의 고령화와 공동화로 농촌교회의 양적 성장이 한계를 드러내고 미자립 농촌 교회들이 산재해 있는 것은 농촌교회의 어두운 현실이지만,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증가, 다인종.다문화의 확산, 정주목회자들의 증가는 농촌교회와 농촌사회에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선교현장에서 더 많은 정주목회자들이 선교적 교회론과 지역사회의 필요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가지고, 성육신적 선교와 통전적 선교를 수행하면서, 도시교회, 교단본부, 신학교와 유기적인 연대를 이루어간다면 농촌사회의 총체적인 변화와 복음화는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The rural community in Korea today is emerging as the mission field where despair/hope, crisis/opportunity, and hopelessness/possibility coexist. The aging and declining phenomenon gives despair, crisis, and hopelessness to the rural community today, but the growing number of the peasantry returned to farming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duct provides hope, opportunity, and possibility both to the rural community and to the rural church. This study begin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here some rural churches that carry out the holistic mission successfully in this mission field in Korea?” “If so, what are their motivation, purpos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at should be resolved?” “What kinds of insights and lessons can be gained from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How can those common characteristics be applied to other rural churches as a principle?”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the perspective of the holistic mission, the writer first discusses ‘the theology of holistic mission,’ ‘the missional church,’ and ‘John Wesley’s holistic mission practice.’ After studying six case churches that effectively exercise holistic mission in rural area, the writer sorts out seven essential characteristics from them. They are (1) the permanent resident rural pastor; (2) the missional ecclesiology (missional self identity); (3) the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4) the incarnational mission; (5) the holistic mission; (6) the valanc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mission of the church; (7) the organic solidarity among the rural church, the urban church, the seminary, and the headquarters of the denomination. The writer contends that these seven characteristics are the essential factors for rural churches to carry out the holistic evangelizaiton more effectively in the rural community in Korea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선교 신학적 근거
  1. 통전적 선교신학(Holistic Missiology)
  2.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Ecclesiology)
  3. 웨슬리의 통전적 선교실천(Wesley’s Holistic Mission Practice)
Ⅲ. 사례연구
  1. 광시송림교회
  2. 동면교회
  3. 송악교회
  4. 단비교회
  5. 예수촌교회
  6. 해남새롬교회
IV. 선교적 통찰: 농촌교회의 통전적 선교를 위한 필수요소
  1. 정주목회자(定住牧會者)
  2. 선교적 교회론(선교적 자기정체성)
  3. 지역사회의 필요에 대한 이해
  4. 성육신적 선교 실천
  5. 통전적 선교 수행
  6. 교회 안팎 사역의 균형
  7. 유기적 연대(도시교회, 농촌교회, 교단본부, 신학교)
V.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황병배(협성대학교, 선교학/전도학) | Byung-Bae Hwa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