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사회에 대한 선교적(missional) 교회의 접근법 - 한국의 문화적 상황을 중심으로 KCI 등재

Missional Approach of the Church to the Community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305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4.2.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오늘날 한국 교회가 처한 문화적 상황은 서구교회 못지않게 선교지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 논의는 한국의 문화적 상황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전통 문화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 문화가 혼재한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화의 급류 속에서 더욱 다문화 사회로 그리고 다원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젊은 층 가운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기독교에 대한 높은 반감과 무관심은 그들에 대한 전도를 힘들게 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상황 속에서 전도와 사회봉사의 사역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도적 접근법을 넘어서서 선교적(missional)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 선교적 접근법은 먼저 성육신적인 방법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불신자들에게 다가가며 그들과 관계를 맺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선교적 회중들은 자신의 교회문화보다도 불신자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와 개념으로 복음을 소통하고자 노력한다. 그들은 먼저 불신자들과 편안한 만남이 가능한 근접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또한 민간, 정부, 복지기관, 기업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 지역사회의 복지와 유익을 추구하며 협력관계를 개발한다. 더욱이 지역사회에 긴요한 영리사업을 추구함으로 해당 사회의 유익을 구하는 한편, 불신자들과의 접촉점을 개발하는 가운데 선교적 목적을 이루고자 한다. 이처럼 선교적 접근법은 다양하게 불신자들과 접촉하며 관계를 개발하는 가운데 자생적 신앙 공동체를 이루고자 한다. 선교적 공동체는 복음과 지역사회 문화와의 선교적 대면을 추구한다. 선교적 회중들은 먼저 지역사회 문화 속에 함께 거주하는 자로서 복음을 접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내면에서 복음과 문화의 내면적 대화를 통해서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가정들과 전제들을 복음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내면적 대화는 교회 밖의 불신자들과 외적인 대화를 나누기 위한 전제이며 선결조건이다. 선교적 회중의 내면에서 일어난 복음과 문화의 내적인 대화는 그들로 하여금 교회 밖에 있는 불신자들이 동일하게 복음을 붙잡고 또 복음에 의해서 붙잡힐 수 있도록 해석학적 렌즈를 제공하거나 불신자들에게 친숙한 용어로 복음을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복음과 문화의 대면에서 중요한 부분은 상호간에 공통점을 찾는 일이다. 그러한 공통점은 복음을 전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접촉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지역사회 속에는 개인주의로 허물어가는 공동체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대가족중심의 복지체계에서 정부중심의 복지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가운데에서 많은 복지적 욕구가 분출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지역사회 상황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을 받는 선교적 회중들이 그 명령을 따르기에 좋은 토양이다. 지역사회 속에서 봉사와 섬김의 사역을 실천함으로써 공신력을 회복시키며 지역사회로부터 좋은 호응을 받고 있는 많은 교회들이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하지만 복음과 문화의 대면에서 간과해선 안 되는 점은 양자 간의 차이점이 분명하게 나타날 경우이다. 그럴 때 돌이키고 회개해서 문화적인 관점과 가치관을 복음적인 것으로 바꾸어 나아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교회는 대조사회로서 초월의 세계로부터 오는 주님의 음성을 듣고 응답하는 공동체이다.

Korean societies nowadays is experiencing rapid changes. Traditional cultures based upon Confucianism, Buddhism, and Shamanism are currently mixed with modern and postmodern cultures. The processes of globalization turned the Korean society into a multicultural one. The revolutions in the area of internet and mobile network added diversity to the Korean society.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old generations and young ones are becoming greater. Many people in the society today are becoming more antagonistic towards Christianity than before. Thes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produce new problems and needs in the Korean communities. Missional approach takes the cultural context in the communities seriously. Missional congregations recogniz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people in the churches and the people outside the churches. They took the incarnational posture when they reach the unbelievers outside the churches. They try to make contact with the unbelievers and take time to listen from them. When they can understand the viewpoints of the unbelievers,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the culture of the people in the community begins inside the minds of the congregations. At this moment, trying to find the commonalities between the Gospel and the culture becomes very important, as it is the commonalities that provide contact points to applicate the Gospel in the culture. Especially nowadays, Korean communities try to rehabilitate themselves with efforts like ‘village revitalization movement,’ ‘community business’ and ‘social enterprise.’ This atmosphere is good soil for the missional congreations to create and participate in the common projects for the community with diverse subjects like government, enterprises, social institutes, civil societies etc.But the more important aspects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Korean culture are in the areas of differences beteen them. In these cases the missional congregations are required to repent from their positions of receiving the cultural influence and to renew their thinking based on the Gospel. Once these kinds of encounters between the Gospel and the culture happen inside the minds of the missional congregations successfully, they are prepared to reach out to the people in the communities. They are in the position to interprete the Gospel to the people in the community using their language and concept. They can translate the Gospel in regards to the main concerns and stories of the people in the communities. Korean churches have the urgent task of becoming ‘contrast societies’ where the authentic community is actualized in the sight of the people in the community like the ‘village in the mountain’ or ‘salt and light’ as Jesus mentioned in the Bible (Matt. 5:13-14). They have the mission to become the sign, the instrument, and the foretaste representing the rule of God in the community.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지역사회의 ‘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
Ⅲ. 지역사회 속으로 성육신적 개입
  1. 근접 공간
  2. 공동 프로젝트
  3. 영리사업
  4. 자생적 신앙 공동체
Ⅳ. 복음과 지역사회 문화의 선교적 대면
Ⅴ. 지역사회 속의 대조사회로서의 지역교회
Ⅵ.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장남혁(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학) | Nam Hyuck Ja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