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형느타리버섯 백색돌연변체의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color mutants in Pleurotus ostrea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59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원형느타리 재배농가에서 발생한 백색과 흑회색 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에 비해 균사생장속도가 느리고 균총의 모양도 불규칙하였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분리한 단포자의 유전표지인자를 분석한 결과 원형느타리1호의 단포자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색소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의 변이체임이 확인되었다. 백색변이체균주를 Mn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배지색소가 형성되었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F1을 육성하여 자실체색의 후대유전양상을 분석한 결과, 백색변이체의 F1은 모두 백색이었으며, 흑회색 변이체의 F1은 대부분 모균주와 같은 흑회색의 자실색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색소변이는 후대(F1)로 유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자실체색은 유색계통이 백색에 대해 우성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백색변이체와 회색의 야생종과의 교배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실체색은 버섯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형질 중 하나이며, 또한 버섯균의 유기물 분해력과 병이나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성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실체색이 진한 품종을 육성하는 연구는 버섯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자실체색 돌연변이체는 이러한 육종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hite-colored and the dark gray-colored mutants were frequently happened in cultivated areas of Pleurotus ostreatus (Wonhyeong-neutari). These caused conflicts between farmers and spawn companies. Our studie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mutagenesis.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s that could be used to prevent the color-related mutation, and also will be applied in breeding programs of P. ostreatus. Oyster mushroom variety, Wonhyeong-neutari, is somatic hybrid of Pleurotus and has genetic makers for arginine, ornithine, proline, riboflavine. Genetic markers analysis of monospore isolates derived from color mutants show identical tendency with that of Wonhyeong-neutar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or mutants were derived from Wonhyeongneutari. Twenty-one and four homokaryons were selected from the white-colored mutant MGL 2205 and gray-colored ASI 2029. All 34 F1 hybrids derived from the white-colored mutant MGL 2205 produce white-color fruiting bodies, indicating that the white color trait is heritable. In the first generation hybrids between the white-colored MGL 2205 and the gray-colored ASI 2029, all 16 hybrids produced pigmented fruiting bodies. Homokaryons isolated from the hybrid MGL 2205 X ASI 2029 were mated with homokaryon tester strains derived from MGL 2205. By these result, we could assumed that white color trait is a heritable character which is controlled by more than one recessive gene.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공시균주 및 배양특성 비교
  색소변이체 유래분석
  자실체색의 유전 분석
  자실체색의 우열성 검정
 결과 및 고찰
  색소변이체의 배양적 특성
  색소변이체 유래 분석
  색소변이체 단포자 교배주의 자실체색 분석
  자실체색의 우열성 검정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이강효(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 | Kang-Hyo Lee
  • 김규현( 천안연암대학 원예과) | 김규현
  • 김범기( 농업생명공학원 분자생리과) | 김범기
  • 유영복(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 | 유영복
  • 성재모(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생물환경학부) | 성재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