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atterns and Nature of Earthenware Excavated in Bumosanseong Fortress
부모산성 출토 토기의 양상과 성격
이글은 청주 부모산성과 부모산성 제 1보루, 학천산성에서 출토된 토기를 분석하여 이들 城堡의 축조 시기 및 주체, 그리고 변천상을 살펴본 글이다. 부모산성은 삼국시대 삼국의 국경지역인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거점성이다. 그리고 부모산성과 연결된 주변 능선의 봉우리에는 작은 방어시설인 보루를 갖추고 있어 本城과 堡壘가 결합된 방어체계를 띠고 있다. 부모산성 및 주변 성보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토기는 백제토기와 신라토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소수의 고구려계 토기편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토기양상은 부모산성이 위치한 청주지역이 삼국의 주요 쟁패지역이었으며, 특히 부모산성의 축조 및 경영 주체가 백제와 신라에 의해 변천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부모산성은 처음에 백제에 의해 부모산 정상을 중심으로 방어시설이 구축되어 한성기~웅진기 초까지 사용되다가 6세기 후반 신라가 청주지역에 진출하면서 신라에 의해 현재의 석축산성이 축조되어 7세기 전반까지 경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백제 사비기에 백제가 신라로부터 재 탈환하여 일정시기 동안 백제의 서쪽변경을 지키는 중요한 거점성으로서 활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부모산성 제1보루는 백제 한성기~웅진기 초까지 木柵혹은 土壘로 이루어진 백제의 중요 關防施設로 경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부모산성이 신라에 의해 경영된 시기에는 신라에 의해 활용되다가 백제 사비기에 백제에 의해 다시 경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학천산성은 백제 사비기 토기가 주를 이루고 있고, 성벽의 구조 및 축조방법이 부여나성과 유사한 점 등을 통해 볼 때 백제 사비기에 백제에 의해 축조ㆍ경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arthenware excavated in Bumosanseong Fortress of Cheongju, its first rampart, and Hakcheonsanseong Fortress and examine the construction time, subjects, and changing patterns of the relics. Bumosanseong Fortress was a base fortress located at a strategic point along the border among the three kingdoms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t had ramparts, small defense facilities, at the peaks of the ridges connected to it, thus forming a defense system with the main fortress and ramparts connected together. Most of the earthenware excavated in Bumosanseong Fortress and its surrounding relics were made in Baekje or Shilla with a small number of earthenware pieces made by Goguryeo. Those patterns of earthenware show that Cheongju where Bumosanseong Fortress is located was an area of major struggle among the three kingdoms and that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ubjects of the fortress were changed by Baekje and Shilla. To elaborate, Bumosanseong Fortress originally built a defense facility around the summit of Mt. Bumo and kept using it until the early days of Hanseong~Woongjin Period. Shilla entered the Cheongju a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and they built the current stone mountain fortress and managed it until the former half of the 7th century. After that, Baekje took it back from Shilla during the Sabi Period and used it as an important base fortress to protect its southern frontie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irst rampart of the fortress seems to have been managed as the major Gwanbang(關防) facility of Baekje comprised of wooden fences and mounds until the early days of Hanseong~Woongjin Period. It was used by Shilla when the fortress was managed by the kingdom and then by Baekje again during the Sabi Period. Finally, the earthenware excavated in Hakcheonsanseong Fortress was mostly from the Sabi Period of Baekje. It is similar to Naseong Fortress of Buyeo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rtress walls. Those points suggest that it was constructed and managed by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