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해지역 마늘종의 이화학적 특성 KCI 등재 SCOPU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from different areas in Namh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0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마늘종의 주요 성분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마늘의 주산지인 남해군 8개 지역에서 마늘종을 수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은 80.15±0.37~83.87±0.15 g/100 g, 조단백 및 조지방은 각각 1.59±0.02~2.25±0.09 g/100 g 및 0.35±0.01~0.48±0.03 g/100 g이었으며 회분은 0.65±0.03~0.71±0.03 g/100 g이었다.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3.02±1.78~58.41±1.08 mg/100 g과 11.60±3.36~23.95±2.04 mg/100 g이었다. 총 클로로필 함량은 이동면 지역의 마늘종에서 170.58±1.04 μg/g으로 가장 높았고 창선면 지역의 마늘종은 116.65±0.00 μg/g으로 가장 낮았다. 무기물은 총 8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무기물 중 칼륨(7257.0±87.9~10070.0±9.7 mg/kg)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량은 이동면과 남해읍 지역의 마늘종이 각각 21,163.7 mg/kg과 20,608.3 mg/kg으로 타 지역산에 비해 높은 함량이었다. 알리신 함량은 78.03±6.15~203.43±18.47 mg/kg으로 재배지역에 따라 함량 차이가 컸으며, 함황화합물 5종을 분석한 결과 diallyl trisulfide가 약 70%로 가장 함유 비율이 높았는데, 이동면 지역 마늘종에서 427.03±27.72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지리적 환경이 유사한 남해군내 8개 지역에서 재배된 마늘종의 성분간 함량 차이는 시비량, 일조량 등의 재배 환경과 재배품종 및 재배기술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마늘종 재배지역간의 함량차이는 있으나 마늘의 유효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shoots investigated in the 8 areas of Namhae, Gohyeon-myeon (GHM), Nam-myeon (NM), Samdong-myeon (SDM), Namhae-eup (NHE), Seo-myeon (SM), Seolcheon-myeon (SCM), Idong-myeon (IDM) and Changsoen-myeon (CSM). The moisture was 80.15±0.37 ~83.87±0.15 g/100 g. The crude protein and lipid were 1.59±0.02~2.25±0.09 g/100 g and 0.35±0.01~0.48±0.03 g/100 g, respectively. Ash was 0.65±0.03~0.71±0.03 g/100 g. In addition, the total levels of phenol and flavonoid were searched as 33.02±1.78~58.41±1.08 mg/100 g and 11.60±3.36~23.95±2.04 mg/100 g, respectively. The garlic shoots in IDM, where the highest total chlorophyll level detected as 170.58±1.04 ㎍/g and in CSM, where the lowest total chlorophyll level investigated as 116.65±0.00 ㎍/g, were unveiled. The mineral elements (S, Ca, Fe, K, Mg, Na, Mn and Zn) were analyzed by ICP-OES, and K was the most highly contained mineral with 7257.0±87.9~10070.0±9.7 mg/kg. Significant feature of garlic shoots in IDM and NHE was that the total amounts of mineral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regions as 21,143.5 mg/kg and 20,581.2 mg/kg, respectively. The cultivating regions were revealed as the one of important matters with the level of allicin (78.03±6.15~203.43±18.47 mg/kg). In particular, the level of allicin of garlic raised in SDM (203.43±18.47 mg/kg) was approximately 2.2~2.6 times higher than those in CSM (92.86±8.70 mg/kg) and SCM (78.03±6.15 mg/kg). The sulfur compounds content of diallyl trisulde was remarkably higher, especially the garlic shoots in IDM with 830.62±14.69~1281.10±27.71 mg/kg.

저자
  • 윤환식((재)남해마늘연구소) | Yoon, Hwan-Sik
  • 강민정(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민정
  • 황초롱( (재)남해마늘연구소) | 황초롱
  • 심혜진( (재)남해마늘연구소) | 심혜진
  • 김경민( (재)남해마늘연구소) | 김경민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 신정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