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훈연 처리한 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관능특성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Smoked Soybea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1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는 고부가 청국장을 개발하기 위해 원료 콩을 훈연처리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고, 훈연 공정이 청국장의 관능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증자 후 훈연기에서 2시간 동안 훈연한 대두에 B. licheniformis를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유기산,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함량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훈연 청국장의 총 유기산 함량은 326.5±8.7 ㎎%로 미훈연 청국장의 171.5±3.4 ㎎%에 비해 두 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석된 유기산 중 훈연 청국장과 미훈연 청국장 모두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훈연 청국장의 총 유리당함량은 미훈연 청국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미훈연 청국장과 훈연 청국장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훈연 공정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weet taste, savory taste, bitter taste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함량 역시 훈연 청국장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 18종 중 tryptophan과 cysteine를 제외한 16종이 훈연 청국장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국장 감칠맛의 주요 물질인 glutamic acid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미훈연 청국장에서 19.5%를 나타내었으며, 훈연 청국장에서 19.0%를 나타내었다. 미훈연 청국장과 훈연 청국장의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훈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외관을 제외한 시험된 모든 항목(냄새, 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원료 콩의 훈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o changes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smoked soybean.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of cheonggukjang made with smoked soybeans (CSS) increased to about two times in comparison with cheonggukjang made with non-smoked soybeans (CNS). Among the organic acids, the amount of succinic acid was highest for both CSS and CNS.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of CSS (228.6±8.8 ㎎%)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CNS (350.1±13.7 ㎎%). Further,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CSS (10,123.3±301.4 ㎎%)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NS (8,912.5±286.5 ㎎%). The contents of sweet, savory and bitter taste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CSS when compared to that of C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in CNS and CSS. The sensory evaluation of aroma,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C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NS. Taken together, it was expected that a smoking process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ew fermented foods.

저자
  • 최선정(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Choi, Seon-Jeong
  • 고형민(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주)새아침 연구개발팀) | 고형민
  •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원석
  • 이난희( 대구과학대학교 식품영양조리과) | 이난희
  • 최웅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웅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