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IS를 활용한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 분석 : 강원도를 사례로 KCI 등재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Survey Results Using GIS for Gangwon-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9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정부에서 매년 수행하는 토양오염실태조사 과정에서 GIS의 적용 가능성과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토양오염조사의 계획단계, 표본조사단계, 결과분석단계에서 공간분석 도구인 GIS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강원도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수행된 604개 지점을 대상으로 GIS 기반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지점의 공간적 집적 정도는 3년 간 자료를 통합하였을 때, 1년 단위의 자료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조사지점 선정을 위한 계획단계에서 공간분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표본조사단계에서는 현재 주소나 평면직각좌표로 기록되는 위치정보의 오차와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GPS를 활용한 경위도 좌표를 추가하여야 한다. 이는 효율적인 자료 관리와 GIS 등을 활용한 정밀한 공간분석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결과분석단계에서는 토양오염결과를 GIS를 이용하여 지도화함으로서 정보 전달과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공간상에서 도로와 하천 등 토양오염과 영향을 주고받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relates to the need for GIS in the soil contamination survey which is performing annually in Korea, accordance with the Soil Conservation Act. To do this, we had explored the potential use of GIS in the each phase of planning, sample survey and results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survey. Soil contamination survey of 604 samples, which were carried out in Gangwon-Do from 2010 to 2012, were analyzed by GIS. The level of spatial clustering of three years cumulative data was higher than that of one year's data. This mean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rvey poi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phase. In addition, survey points should be recorded as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by the GPS, because to record the site with the address or the plane coordinate is likely to cause error. This is also need for the efficient data management and precise spatial analysis. Finally, the result of soil contamination is mapp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From these mapa, we can find additional relationship of the other factors like roads and rivers which relate to soil contamination.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토양오염 조사지점의 분포
 III. 토양오염 분석
 IV. 결론 및 고찰
 註
 참고문헌
저자
  • 정원구(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사) | Won-Gu Jeong
  • 김계월(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사) | 김계월
  • 허범녕(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사) | 허범녕
  • 김순래(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관) | 김순래
  • 최금종(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관) | 최금종
  • 배선학(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배선학
  • 강상혁( 한도엔지니어링 이사) | 강상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