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piritual Leadership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 Establishing a Baseline -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21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4.21.3.2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관련된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Fry (2003) 의 spiritual leadership**의 모델을 입증함과 동시에 한국의 금융 분야에서 직업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고용인들과의 연관성 모델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계획 되었다. Spiritual leadership은 leader, follower, 조직문화 및 직무성과의 관계를 요약한 새롭게 주목받는 전체론적 이론이다. 본 이론은 개인주의적인 문화와 연관된 서양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져 온 반면, 한국과 같은 집단주의적 문화 안에서의 타당성은 최근 들어 연구되어 왔다. 게다가, spiritual leadership 과 관련된 기반산업 연구, 특히 직업 불확실성과 구조체계의 변화에 직면한 산업에 관한 연구 는 미미한 상태다. 본 연구는 spiritual leadership이라는 가치관의 출현과 더불어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소속감과 소명의식의 spiritual survival 변수에 의해 매개되어지는 조직몰입과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한국의 강한 유교적 가치관을 지닌 한 금융회사에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높은 직업 불확실성에 직면있음에도 불구하고 Fry (2003)의 유교와 관련된 spiritual leadership 모델의 보편성을 잘 보여주었다. 신뢰도와 타당성지수는 적정수준 이상이었고 선행된 연구 결과의 범위 내에 있었다. 또한, NNFI와 CFI같은 부합지수는 1% 유의수준에서 모두 유의하였으며, 적정수준 (.95) 이상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향후 금융분야의 조직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a) spiritual leadership의 출현과 (b) spiritual leadership의 집단 차원의 분석과 관련된 유교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본 결과는 유교적 가치관이 공동 소속감을 통해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되거나, leader와 follower들 간 상호 신뢰와 충성도에 따라 약한 권한부여를 통해 부정적으로 기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본연구의 spiritual leadership의 가치관의 낮은 평균 점수는 여러 다른 가능성들 중, 불확실성과 위기상황에서 leader와 follower의 잠재적인 관계 약화는 spiritual leadership의 강점을 뒤집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 종단 연구을 통해 spiritual leadership에서 직무 불확실성의 관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Fry's (2003) model of spiritual leadership within the Confucian context of South Korea and establish a baseline for the model in Korea's financial sector. Spiritual leadership is an emerging, holistic model of leadership that encapsulates the relationships of leaders, follow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However, while the theory has been extensively tested in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validation of the theory in collectivist cultures such as Korea has only recently been pursued. The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valu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valu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ductivity, as mediated by the spiritual survival variables of calling and membership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outh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pany with strong Confucian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universality of Fry's (2003) spiritual leadership model in a Confucian context, despite high job uncertainties facing participants. Measur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bove adequate levels and fell within the range of previous studies. Also, goodness-of-fit measures such as NNFI and CFI were all highly significant (p < .001) and above the .95 level. Hence, a baseline for future research in Korea's financial sector was established. The study recommends the need to explor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onfucianism as it relates to (a)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and (b) group-level analysis of spiritual leadership. Notably, the results suggest that Confucian values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outcomes through collective membership, but negatively through weak empowerment, based on the degree of reciprocal trust and loyalty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Additionally, the lower mean scores of spiritual leadership values in this study a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among other possibilities, the potential weakening of leader-follower relationships during times of uncertainty and crisis can upend the strengths of spiritual leadership. Futur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more deeply examine the relationship of job uncertainties on spiritual leadership.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es
  1. Spiritual Leadership
  2. Korea Cultural Context
  3. Hypotheses
 Ⅲ. Method
  1. Sample and Data Collection
  2. Instrumentation
 Ⅳ. Results
  1. Reliability and Validity
  2. Hypotheses Testing
 Ⅴ. Discussion
  1. Implications for Spiritual Leadership Theory
  2. Implications for Korean Leadership
  3.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 Limitations
 References
 
저자
  • William D. Hunsaker(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