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신종교 경전의 문학적 요소 -증산의 경우를 중심으로- KCI 등재

Literary Elements of the Scripture of New Religion in Korea: Focusing on Jeung-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신종교인 대순진리회의 경전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를 살펴보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적 종교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기록에 의하면 증산은 여타의 신종교 개창자들보다 더 많은 기행이적을 보이고 있다. 그는 그 스스로를 상제라고 자처하며 자신의 종교 행위는 천지공사라고 천명하였다. 그래서 그의 종교 이력을 기록한 경전에서는 많은 은유와 상징의 문학적 표현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영웅 신화적 내용, 역사적 인물에 대한 소개, 한시와 고사, 속담 및 유교 경전의 인용 등이 그것이다. 증산은 신화적 표현 양식을 빌어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민중들에게는 새롭게 도래할 종교적 이상세계에 누구나 동참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제공하여 현재의 질곡을 의미 있게 전환한다. 물론『전경』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들이 증산 자신의 올곧은 직접적 표현이었는지 아니면 자료 수집자나 제공자 그리고 편집자의 각색된 기억인지는 단정 할 수 없다. 다만 그러한 문학적 요소가 신앙독자들에게 신앙을 심화하고 종교 적 진의를 파악하는 기제로 작용한다면 그대로 의미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전경』은 다양한 문학적 요소를 그 안에 함유하여 신앙독자들과 증산을 만나게 하고 그의 종교적 이상을 체감하게 하는 스토리텔링인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look into literary elements in Daesoonjinrihoe scripture and figure out the religious meanings of them in terms of ‘New Religion.’ According to the record known so far, the founder Jeung-San shows a good deal of super-natural acts, especially calling himself ‘Sang-Je,’ the supreme of all gods, and his religious acts ‘Chun Ji Gong Sa.’ Nonetheless, the scripture, ‘Jeon-Gyeong,’ contains various literary symbols and metaphors to emphasize these religious aspects: various proverbs, heroic myths, poetic descriptions and quotations from other scriptures. We do not know that the literary elements in ‘Jeon-Gyeong’ came directly from Jeung-San, yet dramatized by informants. Therefore, the literary elements in the scripture become ‘the tool’ which helps better understand its creative religious works. So the ‘Jeon-Gyeong’ can be seen as a ‘story-telling’ in that Jeung-San himself speaks to today’s people to feel Jeung-San’s religious ideas.

목차
Abstract
 I. 논의의 관점
 II. 증산교단의 형성과 경전 편찬
 III. 『전경』의 구조와 문학적 요소
 IV. 『전경』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의 특징
  1) 최고신 상제의 인신강세 —탄생설화와 신화소
  2) 천지공사 —은유와 상징
  3) 증산의 당대 인식 —도덕성 회복
 V. 나가는 말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윤재근(Professor of Religion and Culture at Daejin University) | YOUN Jae-K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