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秦印文字校訂一例 KCI 등재

A Revision of Qin Seal Character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최근 30년 사이 전국문자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전국문자의 영역분류 연구에 있어서 많은 연구자들이 전국 5계 문자의 개별적 특징을 인식하였다는데 대해서는 별다른 이의가 없다. 주지하다시피 전국문자 영역분류 연구의 중심은 古璽印의 연구이다. 전세기 50년대 李學勤 선생은 『戰國題銘概述』에서 이에 대한 초보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80년대 이후 출토되는 전국 문자 자료가 증가됨에 따라 전국문자 연구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졌다. 羅福頤선생의 『古璽彙編』, 『古璽文編』가 연속적으로 출판됨으로써 많은 학자들의 古璽印 연구를 도왔고, 吳振武・湯餘惠・何琳儀・曹錦炎・林素清・施謝捷등의 여러 학자들이 뒤를 이어 『古璽彙編』과 『古璽文編』를 중심으로하고 새롭게 출토되는 문자를 결합하여 璽印 연구 영역에서 더욱 깊고 정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당시 출토 문물과 문헌의 한계로 인해 개별적인 璽印의 자체(字體) 특징에 대해 명확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고 이로 인해 어떤 국가의 자체로 귀속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문제로 남게 되었다. 예를 들어 『古璽彙編』의 3983를 보면 그 새겨진 글은 비교적 쉽게 읽어낼 수 있으나 문자의 분석에 오류로 인해 어떤 국가의 문자로 귀속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문제로 남겨져 있다. 본고는 『古璽彙編』 3983에 수록된 “空桐勶”를 증명하기 위해 최근 발견된 새로운 秦文字자료를 이용하여 “勶”자에 대해 새롭게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전과 후대의 해서 중의 “勶”자는 모두 “力”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서 학자들은 모두 『古璽彙編』 3983 중의 “勶”자도 “力”이라고 보고 있 다. 본문은 대량의 秦簡과 漢簡, 秦印, 漢印, 帛書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전국문자 중 의 “勶”자는, “刀”의 요소이지 “力”이 아님을 증명하였다. 『古璽彙編』 3983의 국가별 귀속에 대해서 가장 명확하게 증명한 학자는 施謝 捷이다. 본문은 대량의 秦文字를 비교 연구한 결과 施선생이 이를 秦印에 분류한 것이 정확한 의견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e last three decades, research Warring States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Especially in the study of the Warring States Fenwick text, scholars in the five lines of text features Warring States awareness, they have basically not much objection. As we all know, the Warring States text sub-center field study is Fenwick study of Ancient Seals. Last 1950s, Mr. Li Xueqin in the “Warring States epigraph Overview”, a preliminary study was done. Entered since the 1980s, the Warring States period unearthed text data increasing, research into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prosperity. By Mr. Luo Fuyi editor of the “Ancient seal compilation”, “Ancient Xi Wen made” published in succession, which greatly facilitates the study of scholars of Ancient Seals. There have wuzhenwu, Tang Yuhui, He Lin instrument, Cao Jin Yan, Lin Suqing, Shixiejie and many other scholars, “The ancient seal compilation”, “Ancient Xi Wen made” as the center, combined with newly unearthed text of Fenwick Seals and done deeper and subtle study. However, because of the limited material, there are individual Seals, font characteristics are not very significant, it can not determine its country-specific attribution. For example, “Ancient seal compilation” 3983, although its printed text easier Interpretation out, because text analysis is wrong, the problem has not been solved their country. In this paper, “Ancient seal compilation” 3983 included private Xi “Kongtongche (空桐勶)” as a starting point, combined with newly unearthed in recent years, Qin text information on the printed text of the “Che(勶)” word again studied.

近三十年來, 戰國文字的研究取得了長足的進展. 尤其是戰國文字的分域研究方面,學者們在對戰國五系文字特征的認識, 基本上已經沒有多少異議. 眾所周知, 戰國文字分域研究的中心, 是古璽印的分域研究. 上個世紀五十年代, 李 學勤先生在『戰國題銘概述』中, 曾經做過初步的研究. 進入八十年代以來, 出土的戰 國文字資料日益增多, 戰國文字的研究進入繁榮時期. 由羅福頤先生主編的『古璽彙 編』, 『古璽文編』相繼出版, 極大地方便了學者們對古璽印的研究. 先後有吳振武・ 湯餘惠・何琳儀・曹錦炎・林素清・施謝捷等多位學者, 以『古璽彙編』・『古璽文編』為中心, 結合新出土文字, 對璽印的分域, 做過更深入・細微的研究. 但是, 由於當時材料有限, 有個別璽印, 字體特征不十分顯著, 仍然不能確定其具體 國別歸屬問題. 例如『古璽彙編』3983, 其印文雖然較容易釋讀出來, 因為對文字的分 析有誤, 其國別問題也一直懸而未決. 本文以『古璽彙編』3983所收錄私璽“空桐勶” 為出發點, 結合近年來新出土的秦文字資料, 對印文中的“勶”字重新進行了研究.在小篆和後世楷書中, “勶”字都是从“力”的. 也許是受此影響, 學者們一向都把『古璽彙編』3983中的“勶”看成从“力”. 本文通過大量秦簡, 漢簡, 秦印, 漢印, 帛書等資料, 認為戰國文字中的“勶”字, 應該是从“刀”而非从“力”. 對『古璽彙編』3983的國別進行過明確判斷的, 唯有施謝捷先生. 本文通過大量秦 文字的對比研究, 認為施先生把它歸於秦印, 是十分正確的.

저자
  • 張新俊(敎授, 中國河南大学文学院) | Zhang xin 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