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아시아의 전통 초학교재를 활용한 한문 문장구조 학습방법에 관한 시안 KCI 등재

Proposal of Teaching-Learning Method in Sentence Structure of Chinese with East Asian 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고에서는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에게 한문구조를 교수 할 경우의 한 가지 학습방법으로서 전통시대의 초학교재를 활용하여 2자, 3자, 4자, 5자, 7자의 한문문장을 축자식으로 해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문장구조의 필수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학습에 중점을 두고, 부속성분인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는 문장의 확장정도로 제시하면서 문장의 기본구조를 학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아시아 세계의 전통 초학교재란 단순히 과거에 사용된 교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이란 과거를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면서 미래의 비전을 창조하기 위하여 재서술 되는 것이다. 현재의 곤란에 위기의식을 느낄 때, 인간은 과거를 돌이켜보고, 그 반사경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현재의 한문학습에서 느끼는 곤란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하였던 교재들을 돌이켜 보는 것이다. 이런 위기의식과 위기 극복의 노력이 겹겹이 쌓여 갈 때, 한문학습의 새로운 역사가 전개될 것이다. 이 경우 한문학습의 역사는 결국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전통’에 근거하여 미래를 창조해가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문학습의 전통 안에서 사용되었던 초학교재는 교육의 근원적 자료로, 그 내용과 형식은 오늘날에 가져와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문학습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서, ‘전통교재’의 재해석, ‘전통교재’의 재평가, 혹은 ‘전통교재’의 한계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This article open the argument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of classical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among college students who can not read Chinese sentence. The way is to interpret separate word one by one with 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 for 2, 3, 4, 5 or 7 words in one Chinese sentence. Especially, this article notes on teaching basic organization in setences as subject, verb, object and complement and progressively add abnormal phrase, adverbial phrase.The 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 is not simple. People can revalue and reinterpret the past from a modern viewpoint and create vision of future with 'Traditional', so they accept reality and predict the future at the critical moment through traditional book. The new generation of learning Chinese will be open when aware and overcome crisis using traditional book. Finally, future is the renewed past history and it is over and over. The 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 is fundamental method and its contents and composition is perfect to use present. In this article, traditional textbook have been to revalue, reinterpret and catch up critical point.

在本内容里,在对教授没有古代汉语读解能力的大学生古代汉语结构时,建议运用传统的初级教材,把2字,3字,4字,5字,7字的古代汉语句子用串讲的形式进行读解。尤其是对句子结构的主要部分,像主语,谓语,宾语,补语的进行集中学习,而其他部分,像是定语,状语,插入语就根据句子的完成程度展示出来,把句子基本结构的学习作为本提案的重点。东亚世界传统初级教材不是指过去曾使用过的教材。所谓‘传统’是指为了对过去进行重新评价,重新解释,对未来实行展望和创造而进行的新的阐述。人类在遇到困难,感到危机时,会回首过去,通过这面反光镜而理解现在,展望未来。为了克服在现代古代汉语学习中遇到的困难,和准备新的解决方案,我们需要回首过去的教材。如果这种危机意识和克服危机的努力一点一点累积起来,就会展开古代汉语学习的新历史。而这样古代汉语学习的历史最终也将会根据一直更新的传统,成为创造未来的历史。正因如此,古代汉语学习中使用过的传统初级教材是教育的根源资料,它的内容和形式放在现代教育也毫不逊色。静观现代古代汉语的学习情况,我们不得不考虑重新解释,重行评价传统教材,抑或传统教材的极限。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문장구조의 체계적 학습방법
  1. 2자 한문구조와 그 확장
  2. 『삼자경』을 통해본 3자 한문구조
  3. 『千字文』과 『四字小學』을 통해서 본 4자 한문구조
  4. 『추구』와 『동자규』를 통해본 5자 한문구조
  5. 『百聯抄解』를 통해본 7자 한문구조
 Ⅲ. 나오는 말
저자
  • 한예원(조선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 Han, Y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