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제 유도 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KCI 등재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the Upper-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uffering From Hemiplegia: Meta-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6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본 연구는 전통적인 치료와 비교했을 때, 강제 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06년∼2013년까지 게재된 1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PEDro score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상지기능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선정된 14편의 연구는 PEDro score가 6점 이상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527명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환측 상지의 운동 능력, 사용빈도 및 질에서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1). 또한 분리된 움직임, 잡기 능력,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서는 “보통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결론:강제 유도 운동치료는 전통적인 치료보다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회복에 있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rough a meta-analysis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the upper-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uffering from hemiplegia.Methods: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search engines. The fourteen studies selected were published from 2006 to 2013. The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conducted through a qualitative assessment using the PEDro scor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he sample size of the pre-test and post-test, depending on the topic, were determined through a meta-analysis. Results:The fourteen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6 points over the PEDro score and involved 527 study participants. The effect size of the affected upper-extremity function, amount of use, and quality as indicated by a “large effect siz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effect size of the dissociated movement, visual motor integration, and bilateral hand use as indicated by a “medium effect siz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Conclusion: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therapy for improving the upper-extremity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uffering from hemiplegia. This evidence can be used to improve the upper-extremity function of such children in a clinical setting.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대상논문의 선정기준
  3. 질적 평가
  4. 메타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
  2. 계량적 메타분석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오영주(건양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Oh, Young-Ju
  • 조바회(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작업치료실) | Cho, Ba-Hoe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