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나의 벼 생산성 증대를 위한 종자생산 환경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rice seed system for increasing yield productivity in Gha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1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가나에서 벼는 옥수수 다음으로 중요한 주곡작물이다. 요컨대, 카사바나 얌에 비하여 보관이 쉽고 취사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으로 인해 대도시의 바쁜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쌀의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가나에서 쌀 소비량은 연간11.8%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자급률은 46%에 불과해부족한 쌀을 외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적으로국제 곡물가 상승에 따른 식량안보 이슈와 재정적인 부담이부각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가나의 벼 생산성 증대를 통하여 현재15~20% 수준에 불과한 보급종의 생산과 활용도를 높이고자종자생산 및 유통·보급체계를 분석하고 가나의 현실에 적합한보급종 벼 생산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가나의 벼 종자생산 및 보급체계를 분석한 결과 비공식 품종의 난립, 국내 품종육성 능력 미흡, 국가 품종 보급 및 관리기관의 업무과다와 재정 부족, 보급종에 대한 농민의 낮은 신뢰도 및 정보 부재, 신품종 구입 애로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보급종 종자의 생산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종자생산 클러스트를 구성하여 해당지역에 적합한 벼품종을 선정하고 수요를 파악하여 종자를 생산하는 Semi-informal system이 단기적인 관점에서 정책대안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종자 판매시스템 개선 및 농업기술의 신속한 전파를 위해서 소셜네트워크 시스템(SNS)을 이용한 정보 제공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농촌지도소 위주의 클러스트 구축에 의한 보급종 생산은 종자의 수급량 예측이 용이하고 지역에 알맞은 적품종의 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농촌지도소를 통한 종자판매는 보급종에 대한 농민의 접근성과 신뢰성 확보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어 보급종의 재배확대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공익적으로 제공하는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 서비스는 농민들에게 최신 품종정보나 영농관련 기술전파에도 활용될 수있을 것이다.

Rice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cereal after maize in Ghana. Rice consumption has beengrowing rapidly, mainly around towns such as Accra. However, self-sufficiency rate remains to be about46% of the national consumption. Ghana depends largely on imported rice to augment the domesticdeficit in rice supply. High level of dependence on imported rice causes financial burden to the country’sforeign currency reserves, as well as to food security accompanied by raising international grain price.This paper aimed at policy recommendation of seed system in Ghana to increase self sufficiency in rice.Ghana shows a number of findings to include non-certified varieties are all over the country, lack ofcapacity to develop domestic varieties, excessive work and fund resource shortages of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ions and its management institutions, low trust and poor information about certi-fied seeds and modern varieties (MV), and difficulty in purchasing new varieties. In order to solve theseproblems, we suggest to utilize semi-informal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ing System (SNS) for the improvement of seed promotion and fast dissemination of agriculturaltechnologies. The main idea of semi-informal system is the multiplication of fresh certified seeds underthe observation of the Agriculture Extension Agents (AEAs) and qualified core seed growers. In conclu-sion, certified se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ric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food self-sufficiency. In addition, fast dissemin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via SNS,farmers’ accessibility will be improved on new agricultural technology or new varieties.

목차
ABSTRACT
 농업정책 및 종자산업 환경변화
  농업정책
  종자산업 환경변화
  벼 재배 및 품종 현황
  종자 보급체계
  종자산업 관련 문제점
 결론 및 정책 제언
  지역단위의 보급종 종자생산 클러스터 구축
  종자 판매시스템 개선 및 농업기술의 신속한 전파
 적 요
 REFERENCES
저자
  • 강환우(삼정KPMG경제연구원) | Hwan Woo Kang
  • 이기환(경북대학교 농산업학과) | Gihwan Y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