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에서 주당협수와 주당립수 및 협당립수와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 KCI 등재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Number of Pod per Plant, Number of Seed per Plant, Number of Seed per Pod in Soybean (Glycine max L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품종 육종의 주요 목표중 수량의 증가를 위한 요인들을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콩에서 수량을 결정하는 요인들중에서는 협수와 립수가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큰올콩과 익산10호를 교배하여 얻은 F10세대의 RIL 계통을 이용하여 수량에 관여하는 요인중 주당협수와 주당립수 및 협당립수를 조절하는 QTL을 분석하였다. 주당협수는 염색체 5번( LG A1), 6번(LG C2), 8번(LG A2)과 9번(LG K) 및 18번(LG G)에서 5개의 독립된 QTL이 탐지되었으며, 주당립수는 염색체 1번(LGD1a+Q), 6번(LG C2), 9번(LG K), 13번 (LG F)과 17번(LG D2) 및 18번(LG G)에서 6개의 독립된 QTL이 탐지되었다. 협당립수는 2개의 독립된 QTL이 염색체 11번(LG B1)과 19번(LG L)에서 탐지되었는 데 염색체 19번(LG L)에서 탐지된 QTL은 전체 변이의 19.3%를 설명하는 주요 QTL이었다. 한편 주당협수와 주당립수는 염색체 6번(LG C2)과 9번(LG K) 및 18번(LG G)에서 공통된 QTL이 탐지되었다.

Selection for increased yield potential is main goal of plant breeding. Seed and pod numbers are the main yield components in soybe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that control pod number per plant, seed number per plant and seed number per pod in soybean. The 117 F2:10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veloped from a cross of 'Keunolkong' and 'Iksan 10' were used. Five independent QTLs for pod number per plant were identified from chromosome 5 (linkage group A1), 6 (LG C2), 8 (LG A2), 9 (LG K), and 18(LG G). Six QTLs for seed number per plant were located on chromosome 1 (LG D1a+Q), 6 (LG C2), 9 (LG K), 13 (LG F), 17 (LG D2), and 18 (LG G). Seed number per pod was related with three QTLs located on chromosome 11 (LG B1) and 19 (LG L). Pod and seed number per plant have three common QTLs on chromosome 6 (LG C2), 9 (LG K), and 18 (LG G).

저자
  • 김현경(부산대학교 의학연구원) | Hyeun-Kyeung Kim
  • 임후남(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Hu-Nam Lim
  • 최영환(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Whan Choi
  • 강점순(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Jum-Soon Kang
  • 이용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ng-Jae Lee
  • 박영훈(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Hoon Park
  • 서정민(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Jeong- Min Suh
  • 손병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eung-Gu S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