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우자료의 비동질성 규명을 위한 변동점 분석기법의 상호비교 및 적용 KCI 등재

Intercomparison of Change Point Analysis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Inhomogeneity in Rainfall Series and Ap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변동점 분석은 강우, 유량, 온도 등의 수문기상자료의 기초적인 정보를 이해함에 있어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합리적인 방법으로 분석된 미래 강우량에 대한 변동점 분석 결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홍수나 가뭄과 같은 수문현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문제가 되는 비동질성 또는 비정상성 요인을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동성 분석을 위해 이용되는 3가지의 이론(CUSUM, BCP, DP)을 소개함과 함께 3가지 기법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호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가지 종류의 합성 모의 강우자료의 생성을 통해 3가지 기법들을 수행한 뒤 그 결과를 특정 성능평가 절차를 거쳐 평가하였으며, 그 중 2가지 기법을 국내 관측 강우자료 및 미래 강우자료의 변동점 분석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법 간 비교를 통해 BCP 0.9가 가장 우수한 탐색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DP 또한 합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이와 같은 강우자료에 대한 변동점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동질성이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수문모형을 구축하는 연구 등에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hange point analysis is a efficient tool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information in hydro-meteorological data such as rainfall, discharge, temperature etc. Especially, this fundamental information to change points to future rainfall data identified by reasonable detection skills can affect the prediction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because well detected change points provide a key to resolve the non-stationary or inhomogeneous problem by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study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3 change point detection skills, cumulative sum (CUSUM) method, Bayesian change point (BCP) method, and segmentation by dynamic programming (DP) was performed. After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etection skills using the 3 types of the synthetic series, the 2 reasonable detection skills were applied to the observed and future rainfall data at the 5 rainfall gauges in South Korea.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BCP (with 0.9 posterior probability) could be best detection skill and DP could be reasonably recommended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Also it was suggested that BCP (with 0.9 posterior probability) and DP detection skills to find some change points could be reasonable at the North-eastern part in South Korea. In future,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efficiently used to resolve the non-stationary problems in hydrological modeling considering inhomogeneity or nonstationarity.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변동점 분석기법의 이론적 배경   2.1 변동점 분석   2.2 CUSUM 기법   2.3 BCP 기법   2.4 DP 기법  3. 기법들의 성능평가를 위한 모의자료의 발생   3.1 동질특성 자료의 생성   3.2 비동질 단일 변동점 자료의 생성   3.3 비동질 다중 변동점 자료의 생성  4. 성능평가 방법 및 결과   4.1 변동점 분석기법의 성능평가 방법   4.2 동질특성 자료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 및 변동점 숫자만을 이용한 결과   4.3 변동점 위치를 고려한 비동질 단일 변동점 자료에 대한 분석   4.4 변동점 위치를 고려한 비동질 다중 변동점 자료에 대한 분석   4.5 3가지 지표를 활용한 분석결과  5. 변동점 분석기법의 실제 강우자료의 적용 및 결과  6. 결론 및 향후과제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상호(부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교수) | Lee, Sangho
  • 김상욱(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조교수) | 김상욱
  • 이영섭(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이영섭
  • 성장현( 국토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 시설연구사) | 성장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