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 시 세절 여부와 TMR 배합시간에 따른 젖소 TMR의 물리적 유효 NDF 함량 및 in situ 반추위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Chopping Corn Silage and TMR Mixing Time on Physically Effective NDF in Dairy Cows and Ruminal in situ Dry Matter Disappear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6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옥수수 수확 시 세절여부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TMR 제조시 배합시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Particle size 및 laceration)과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TMR 시험사료는 세절(20 mm)한 것(T1구)과 세절하지 않은 옥수수 사일리지(T2구)를 이용하여 총 60분간 배합하면서 시료를 채취한 후 Penn State Particle Separator(PSPS)로 분석하였다. 모든 배합시간에서 T2구보다 T1구에서 상층(>19 mm)과 하층(<8 mm)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중층(8-19 mm)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굵은 비율(≥1 mm)의 감소율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eNDF>8.0 및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도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에서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의 TMR 제조 시 세절하지 않은 것보다 세절한 옥수수 사일리지가 적정 peNDF 범위가 유지되어 조사료로서 사료적 가치를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hopped or unchopped corn forage on characteristics of corn silage, and the effect of mixing time on particle size, laceration, and ruminal in situ dry matter degradation of TMR mixed with these corn sil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MR mixed with chopped or unchopped corn silage for 60 minutes, and then analyzed by Penn State Particle Separator. The particle retention of T1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op screen (19 mm) (p<0.05) and in the bottom pan (p<0.01), respectively, while it was higher in the middle screen (8 mm) (p<0.01) than that of T2. peNDF>8.0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17.10-18.18%) than in T2 (14.69-16.41%) (p<0.01) after mixing for 60 minutes. Ruminal In situ dry matter disappearance of the particle retention (>19 mm) in T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24 hours incubation (p<0.05). The results show that the chopped corn silage may improve the nutritive value of forage as promising forage with maintaining adequate peNDF.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공시재료 및 시험사료
  2.2 사료 성분 분석
  2.3 입자 크기(Particle size), 종절도(Laceration) 및 peNDF 함량 측정
  2.4 Nylon bag 시험
  2.5 통계분석
 Ⅲ. 결과 및 고찰
 Ⅳ.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저자
  • 임동현(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D. H. Lim
  • 기광석(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K. S. Ki
  • 최순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S. H. Choi
  • 권응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E. G. Kwon
  • 김태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T. I. Kim
  • 박성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S. M. Park
  • 박수범(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S. B. Park
  • 김언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E. T.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