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훼장식 원예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정서 안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Flower Decoration Horticulture Program on Emotional Stabilization and Stress of Woman High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여고생을 중심으로 화훼장식 원예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여고생 1, 2학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화훼장식 원예치료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 15명과 참가 하지 않은 대조군 15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9년 3월 2일에서 2009년 6월 8일까지 매주 1회로 총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 불안 척도, 학업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정서적 불안정성, 불안, 시험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의 하위요인인 공격성, 긴장수준, 열등감 영역 모두에서 원예치료를 실시한 실험군에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원예치료 실시 후, 불안감에 대한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7)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고생에게 실시한 화훼장식 프로그램은 여고생의 불안감 해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검정 결과,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수업, 공부, 시험 요인에서 유의확률 0.044, 0.049, 0.03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원예 프로그램 실시 후 학업스트레스가 수업, 공부, 시험 영역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화훼장식 원예 프로그램은 여고생의 불안정성과 불안 감소, 학업 스트레스 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 여학생들에게 효율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e program using flower decorations performed particularly on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rea experiencing academic stress such as a sense of frustration and defeat stemming from entrance exam-centered cramming method of education to see if such stress was reduced. An experimental group of 15 highschool girl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horticulture program using flower decorations after school and a comparative control group who did not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m. A total of 15 sessions of the program for horticulture program using flower decorations were held, one per week for a study period from March 2, 2009 to June 8, 2009. the flower decoration program conducted on female highschool students appeared to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uneasiness.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appeared to be a difference in academic stress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 after horticulture program was performed on them using the flower decoration program and as a result, the factors for classes, studies and exams representing subordinate factors for academic stress showed a significant consequence with their respective significant probabilities of 0.044 0.049 and 0.036.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for horticulture program using flower decorations was shown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ress from which students suffered in classes, studies and exams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for academic stress. Thus, the program for horticulture program using flower decorations performed on female highschool students suggested that it had the effect of alleviating instability, uneasiness and academic stress in female highschool students, enabling to know the program was an effective one for youths with entrance exams ahead of them.

저자
  • 손미리(고려대학교 대학원) | Mi Ri Son
  • 장유진(고려대학교 대학원) | Eu Jean Jang Corresponding author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 Ho P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