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련 문헌 및 자료를 통하여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에 관하여 알아보고 사회적 대안으로 효과성을 인정받은 원예를 도구로 이용하여 개인・환경・상호 교류 적 관계에 역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스트레스를 줄이고 긍정적인 스트레스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를 향상 시켜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목적을 두었다.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27명과 참가 하지 않은 대조군 27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전・후에 설문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10년 3월 13일에서 2010년 12월 18일까지이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격주 1회씩 총 18회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대안 프로그램을 적용한 원예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사회적지지・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사회적지지・스트레스에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원예치료를 실시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조군과 치료군은 동일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사회적지지・스트레스에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원예치료를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소에 대한 영역의 결과는 실험군의 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에 대한 영역을 확인한 결과 실험군의 p=0.002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영역의 결과는 실험군의 p=0.002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입시 스트레스가 심한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안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스트레스 대안 훈련 프로그램은 신체적・심리적 반응을 완화시켜 주는 데 효과적이며 스트레스 관리능력을 함양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감소시켜 건강한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확대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tting 1st graders in an academic high school as subjects,27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e treatment therapy program and 27 students of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nd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tudy period was 2010.3.13~2010.12.18 and the horticulture treatmen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biweekly. Before the horticulture treatment therapy, measurement was done on self-esteem, social-support, and stres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concluded that the two groups were in not much differences, feasible enough to proceed the therapy.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area of self-esteem, concluded in treatment group's p=0.000(<0.01) which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area of social-support, concluded in treatment group's p=0.002(<0.05) which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area of stress, concluded in treatment group's p=0.002(<0.05) which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