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 아동을 위한 원예교육 프로그램 구조화 및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 on the Identity, Community Spirit and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ramework for Multicultural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예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수업모형과 유형은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시간과 같은 교과과정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인지적 수준이 낮은 다문화 아동의 이해수준을 높이고 수업을 보다 구조화하기 위해 수업모형을 아동의 학습 단계별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프로젝트학습법, 협동학습법, 기능학습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법, 문제해결학습법으로 구성하여 아동에게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2시간씩 원예활동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다문화 아동을 위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의 구조화 및 원예활동은 다문화 아동에게 효과적인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out impac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which are provided to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living in Korea on their self-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Educational programs and related teaching models and types used in the research are performed in curriculums such as optional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particular, in order not only to improv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ith low cognitive level but also to make lessons more systematic, teaching models were used by children’s learning level. Each horticultural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project teaching method, cooperative teaching method, functional teaching method,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 and problem-solving method were conducted for children for two hours every week from March 2011 to October 2011.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That is, structure of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are very effective and helpful to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곽혜란(서울교육대학교) | Hyeran Kwack
  • 장유진(고려대학교 대학원) | Eujean Jang Corresponding Author
  • 박지나(고려대학교 대학원) | Jina Park
  • 최지원(고려대학교 대학원) | Jiwon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