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3.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의 무기물,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 및 배양조건의 영향 KCI 등재

Masspropagation of Korea Green Native Ferns in Vitro for Developing Materials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5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의 체계를 위해 배양조건에 따른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의 조합 및 배양조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엽체증식에 있어 적절한 배지는 4종 모두 MS배지가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양호하였고, 질소량이 NH4+:NO3-이 20:40mM로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특히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서는 NH4+:NO3-이 60:0보다 20:40mM에서 생체중이 1.48g으로 4.1배로 증가를 보여 가장 양호하였다. 탄소원인 sucrose 농도별로 전엽체의 증식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 있어 3%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7.7배로 전엽체의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고, 배지내의 NaH2PO4 100mg/L에서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경우에 있어 가장 양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장조절 물질에 대한 생육반응에 있어 골고사리와 버들참빗은 NAA 0.1mg/L에서 볼 수 있었으나, 돌담고사리 경우에는 Kinetin 0.01∼10mg/L와 NAA 0.01∼1mg/L에서는 효과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손고비에서는 전반적으로 무처리구에서 전엽체 증식이 가장 현저하였다. 배양시 광조건은 1,000 Lux의 광도에서 배양한 것이 전엽체 증식률이 가장 높았으며, 배양방법에 있어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는 액체배양에서는 1.59g에 비해 고체배양에서 3.34g으로 2.1배의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in vitro mass propagation system of korea green native ferns for developing materials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nitrogen, carbohydrate, growth regulators, cultural light, and cultural methods on the propagation of prothallus for several korea green native ferns. MS medium was more efficient in the prothallus formation and growth than 1/2 MS and agar medium. The ideal NH4+:NO3- ratio of nitrogen sources was 20:40 mM for Pteris cretica. In the case of carbon sources, the addition of 3% sucrose to the medium exerted an important role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were increased 7.7 times for Pteris cretica specially. NaH2PO4 at 100 mg/L added to the basal medium was promotive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for Polystichum lepidocaulon specially. There was promotive effects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in the basal medium with 0.1 mg/L NAA for Asplenium scolopendrium and Diplazium lanceum, but was not promotive at Kinetin 0.01∼10mg/L and NAA 0.01∼1mg/L for Asplenium sarelii. The addition of growth substances to basal medium was inhibited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for Colysis elliptica.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was more effective on the culture under light with 1,000Lux than dark in each species, and the cultural method was more effective solid culture than liquid cultur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영현(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과) | Young-Hy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