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헌에 나타난 식용 가능 자생식물과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산채류의 비교 연구 KCI 등재

Comparative Study on the Edible Wild Plants in the Literature and Traditional Mark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7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산채 자원의 발굴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의 확보를 위해 2005년 3월 초부터 동년 7월 중순까지 식물도감과 산채관련 문헌에 나타난 식용가능 자생식물과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채류의 종류 수와 식용부위, 식용여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문헌상 식용이 가능하거나 산채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식물을 조사한 결과 71과 547종류였다. 식용 가능 자생식물로 조사된 547종류 중에는 국화과가 127종, 백합과 59종, 산형과 26종, 미나리아재비과 24종, 십자화과 23종, 장미과 21종, 꿀풀과가 20종, 초롱과가 20종, 기타과 순으로 많았다. 산채류를 초본과 목본으로 구분한 결과 90% 이상이 초본으로 나타났다. 식용부위는 어린순과 잎, 엽병 등을 이용하는 것이 475종(86.8%), 뿌리와 잎 등 식물체 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38종(7.0%), 뿌리 또는 지하경, 인경 등을 이용하는 것이 23종(4.2%), 꽃 등 기타 부위를 이용하는 것이 11종(2.0%)이었다. 식용 가능 자생식물 547종류 중 식물도감에 식용 가능한 것으로 표기된 것은 521종류, 식물도감에는 없고 산채관련 문헌에만 있는 것은 17종류였으며, 갯개미자리, 방풍, 합다리나무는 식물도감이나 산채관련 문헌에는 없었으나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식용 가능한 547종류의 자생식물 중 3종류 이상의 산채 관련 문헌에 나타난 것은 81종류였는데 이중 28종류만이 시장에서 관찰되었고, 29종류는 유통되지 않고 있었다. 경남, 전남 및 전북의 재래시장과 5일장에서 관찰된 산채 종류 수는 70종류로 식용 가능한 식물로 조사된 547종의 12.8%에 해당되었다. 시장에서 관찰된 산채 종류의 과는 국화과(23종, 42.0%), 백합과(8종, 14.6%), 산형과(6종, 11.0%)가 주류를 이루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구분 기준에 의하면 식용 가능 자생식물로 구분된 547종류 중 127종은 식용 가능, 22종은 식용이 불가능, 나머지 398종은 불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ndustrialize favorable wild vegetable resources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cultural preservation of them. We have also examined the kinds and number of wild vegetables, edible parts and whether or not using for food observed in the illustrated book for plants and the traditional markets from early in March to mid-July, 2005. Seventy one family and five hundred and forty seven kinds of edible wild plants were observed in the literatures. Families and kinds of edible wild plants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Compositae (127), Liliaceae (59), Umbelliferae (26), Ranunculaceae (24), Cruciferae (23), Rosaceae (21), Labiatae (20), Campanulaceae (20), and the others. Over 90% of edible wild vegetables were herbaceous.
Kinds of wild vegetables classified by the edible parts were as follows that five hundred and seventy five kinds of that with young sprout, leaves and leaf stalk (86.6%), thirty eight kinds of that with all plants such as roots and leaves (7.0%), twenty three kinds of that with root, rhizome, and bulb (4.2%), and eleven kinds of that with flower and the others (2.0%). Among five hundred and forty seven kinds of wild vegetables, five hundred and twenty one kinds were observed in the illustrated book for plants, and seventeen kinds of that only in the wild vegetable associated literatures, and some wild vegetables such as Spergularia marina and Meliosma oldhamii marketed only in the traditional markets. Over three kinds of that observed in the same literature were eighty one plants. And only twenty eight kinds of that were found in the traditional markets.
About seventy kinds (12.8%) of wild vegetables were marketed in the five-day traditional markets of Gyeongnam, Jeonnam and Jeonbuk districts. Main families of wild vegetables marketed in the traditional markets were Compositae (twenty three kinds, 42%), Liliaceae (eight kinds, 14.6%), and Umbelliferae (six kinds, 11.0%). Among five hundred and forty seven edible wild plants, whether or not using for food were classified by the data base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s follows that possible by one hundred and twenty seven plants, impossible by twenty two plants, and uncertain by three hundred and ninety eight plants.

저자
  • 허북구((주)세노코) | Buk-Gu Heo Corresponding author
  • 유성오(원광대학교 원예·애완동식물학부) | Sung-Oh Yu
  • 김병운(목포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Byoung-Woon Kim
  • 양승렬(순천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Seung-Yul Yang
  • 조자용(남도대학 약용자원원예개발과) | Ja-Yong Cho
  • 천상욱((주)캐러스) | Sang-Uk Chon
  • 장홍기((주)세노코) | Hong-Gi Jang
  • 김현주(원광대학교 원예·애완동식물학부) | Hyun-Ju Kim
  • 박윤점(원광대학교 원예·애완동식물학부) | Yun-Jum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