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리산업의 현황과 수매중단에 따른 대응방안 - I. 보리가공제품 생산실태 및 품질과 가격조사 - KCI 등재

Current State of Barley Industry and Counterplan against the Abolition of Procurement System of Barley - I. Actual Condition of the Production of Barley Processed Products and Investigation on Quality and Pri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3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국내보리의 수매중단에 따른 원료곡 수급의 대책을 마련하기위한 기초자료로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전국의 가공업체 현황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가공제품의 종류와 가격을 조사하고 이들의 품질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국적으로 수집된 보리가공제품(주류제외)에 의해 조사된 보리가공업체의 수는 153개였으며 시도별로는 경기 >충북 >전남 >전북 >경북 >경남 =충남 >강원 >서울 순이었다.
2. 보리함유 가공제품(주류제외)의 품목 수는 17개였으며 가공제품의 수는 240종이었다.
3. 보리가공제품의 품목별 수는 혼합곡 >찰보리쌀 >일반보리쌀 >미숫가루 >보리차 >엿기름 >압맥 >보리과자류 순이었다.
4. 보리가공업체가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는 평균 1.6종이었으며 전체업종의 68%가 1 ~ 2 종류를 생산하며, 5종 이상을 생산하는 업체도 13%정도 되었다.
5. 보리쌀 제품류별 유통가격은 압맥(찰성) >흑맥(메성) >할맥(메성) >찰보리쌀 >압맥(메성) >메보리쌀 순이었다.
6. 친환경제품은 일반제품에 비해 평균 41%정도 가격이 높았으며 제품에 따라 12~93%의 가격 차이를 보였고, 차이가 큰 순으로는 보리차 >찰보리쌀 >압맥 >미숫가루 >혼합곡이였다.
7. 동일품목 내에서도 가공업체에 따른 차이는 미숫가루가 가장 커서 최고가가 최저가의 4배 이상이고, 보리차음료(PET병), 보리차(티백), 찰보리쌀(친환경)은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8. 찰보리쌀 제품 42종 중 찰성순도가 높은 제품이 13종, 찰성과 메성이 혼합된 제품이 26종, 완전 메성인 제품이 3종이었으나, 찰성순도와 이들의 가격 간에는 관련이 없었으며 오히려 찰성순도가 낮은 제품이 비싼 경우도 있었다.
9. 메보리쌀 제품 34종 중 표시가 잘못된 찰성 보리쌀 제품이 1종 있었고, 찰성과 메성이 혼합된 제품이 2종 있었다.
10. 보리 엿기름제품 30종의 평균 효소력가는 131oL로 낮은 편이었으며 150˚L미만의 품질이 낮은 제품이 절반이상이었다.
11. 보리 엿기름의 효소력가와 제품가격 간에 관련이 없었으며 오히려 품질이 낮은 제품이 비싼 경우도 있었다.

The current state of barley processing enterprises and actual conditions of processed products containing barley in circul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is survey was done in order to set up countermeasures for stable supply and demand of domestic barley consequential to the abolition of procurement system of barley. Liquor-excepted barley processing companies were 153, and 17 items of processed products containing barley and 240 processed products were examined. Mixed grain was the most found among the processed products containing barley, followed with polished waxy barley. The price of polished barley products increased as the grain was more processed and waxy. Eco-friendly products were more expensive than normal products on an average of 41% with a range variation of 12% to 93%. Some processed products containing barley were four times more expensive than other same products made by different companies but actually there weren’t any special difference among the products in terms of quality. Only 31% of the products known as waxy barley could be accepted as 'actual' waxy barley. The rest of them were mixed with non-waxy barley and some of them were even entirely consisted of non-waxy barley. In case of barley malt products, more than a half of them were below the standard of the diastatic power (150 DP). About 24% of the products were below 100 DP which means the product were in a really bad condition. However, there weren't any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and price as some bad products were even more expensive than oth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troduction of a quality grading system is needed for proper quality control of waxy barley or barley malt products.

저자
  • 권태오(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Tae-Oh Kwon Corresponding author
  • 이영택(가천대학교 공과대학) | Young-Tack Lee
  • 고복래((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Bok-Rai Ko
  • 성병렬((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Byung-Ryul Sung
  • 이종호((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Jong-Ho Lee
  • 김정곤((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Jung-G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