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남부간척지 벼 담수표면직파 재배시 기비시용시기별 생육 및 수량 KCI 등재

Growth and Yield of Direct Seeded Rice as Influenced by Time of Basal Application of Nitrogen in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서남부간척지 벼 담수표면 직파재배시 합리적인 질소기비시용시기와 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세사양토(문포통, 염농도0.1~0.2%)에서 동진 2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4월 중순에 담수표면직파재배에서 파종전 기비시용시 적정입모수가 확보되었으나, 파종 후 10일, 20일 및 30일에 기비를 시용한 경우에는 적정입모수가 확보되지 않아 수량감소가컸다. 파종전 기비 시용 처리시 m2당 입모수는 163개이었으나파종 후 10, 20, 30일 기비시용 처리에서는 m2당 평균 98개로 파종전 기비시용에서 입모수가 많았다.
수량은 파종전 기비 시용 처리에서는 10a당 523 kg이었으나,파종후 10, 20, 30일 기비시용 처리에서는 10a당 평균433 kg로 파종전 기비 시용 처리에서 파종후 기비 시용처리보다 수량이 증수되었다. ha당 질소시비량 200 kg에서 쌀수량이 10a당 541 kg으로 처리간 수량이 가장 많았으나 질소시비량 170 kg/ha에서도 질소시비량 200 kg과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담수표면직파재배를 할 때의 기비시용 시기는 입모확보 및 쌀 수량과 염해 등을 고려해 볼 때파종전에 기비를 시용하는 방법이 파종후에 기비를 시용하는방법보다 좋을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질소시비량을 표준시비200 kg/ha 보다 적은 170 kg/ha로 시용해도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optimum time of basal application of nitrogen in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Nitrogen application before seeding and 10, 20 & 30 days after seeding were evaluated with three nitrogen application levels(140, 170 & 200 kg/ha) in Munpo soil series having 0.1~0.2% of soil salinity. Nitrogen was split-applied with forestage; basal, tillering stage, flowering initiated stage and ripening stage by a ratio of 50-20-20-10%. Results reveled that seedling stands were considerably higher when basal nitrogen applied before seeding as compared to after seeding. Grain yield increased with increase of nitrogen application before seeding. Grain yield was the highest when nitrogen application was 170~200 kg/ha before seed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level was 170~200 kg/ha before seeding in direct seeded rice in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for maximum plant establishment and grain yield.

저자
  • 김영두(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Young-Doo Kim Corresponding author
  • 최민규(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in-Kyu Choi
  • 백만기(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an-Gee Baek
  • 구본일(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Bon-Il Ku
  • 강신구(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hin-Gu Kang
  • 박홍규(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ong-Kyu Park
  • 최원영(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Weon-Young Choi
  • 고재권(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ae-Kwon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