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만금 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별 동계 사료작물의 생육 및 수량 KCI 등재

The Growth and Yield of Winter Fodder Crops by Soil Salinitie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새만금 간척지에서 동계 사료작물의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9년 가을부터 2011년 봄까지 염분농도가 다양한 토양조건에서 청보리, 호밀,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을 공시하여 생육특성,생초 및 건물수량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과 입모율은 토양에 염분이 거의 없는 시험구에서 84%와 79%인 반면, 토양 염농도 0.2% 시험구에서는 73%와 64%, 토양 염농도 0.3% 시험구에서는 52%와 40%, 토양 염농도 0.4% 시험구에서는 37%와 22%이었다.
2. 사료작물별 출현율과 입모율은 호밀, 밀, 트리티케일 및 청보리는 비슷하였으며, 귀리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초장은 토양 염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단축되었으며, 토양 염농도 0.3% 이상 시험구에서는 단축정도가 매우 컸다.
4. 생초 및 건물수량은 토양에 염농도가 거의 없는 시험구 대비 토양 염농도 0.2% 시험구에서 66~77% 수준이었으나, 토양염농도 0.3% 이상 시험구에서는 30~61% 수준이었다.
5. 사료작물별 생초수량은 호밀 >밀 >청보리 >트리티케일 >귀리 순으로 많았으며, 건물수량은 밀> 호밀=청보리> 트리티케일> 귀리 순으로 많았다.
6.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에서 동계 사료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토양 염농도는 공시작물의 생육특성, 생초 및 건물수량 등을 종합해 볼 때 0.2% 이하이고, 염류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사료작물은 호밀, 밀, 청보리, 트리티케일 이었다.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of winter fodder crop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barley, rye, wheat, triticale, and oat were cultivated under the various ranges of saline soils from autumn 2009 to the spring 2011, and their growth and yields were evaluated. emergence and seedling stand rate were 84 and 79% at non-salinity soil plot, 64 to 73% at 0.2% saline soil plots, 40 to 52% at 0.3% saline soil plots, and 22 to 37% at 0.4% saline soil plot, respectively. those of rye, wheat, triticale, and barely were similar, however those of oats were relatively low. Yields of fresh and dry matter were 66 to 77% level at 0.2% saline soil plot and 30 to 61 % level at over 0.3% saline soil plots compared with the yields at non-saline soil plot. Fresh matter were high in order of rye>wheat>barely>triticale>oat. and dry matter were high in order of wheat>rye=barley>tricale>oat. Thus, considering these results, Soil salinity below 0.2% were available to cultivation of winter fodder corps and rye, wheat, barely and triticale were available crops in Saemangeum recalimed land.

저자
  • 백남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Nam-Hyun Back Corresponding author
  • 김택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Teak-Kyum Kim
  • 양창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Chang-Hyu Yang
  • 김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un Kim
  • 남정권(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eong-Kwon Nam
  • 이상복(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ang-Bok Lee
  • 최원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Weon-Young Choi
  • 김시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i-Ju Kim
  • 이경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yong-B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