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수 염 처리에 의한 유채의 지방산 조성과 무기이온 수준 변화 KCI 등재

The Effect of Seawater Salinity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Nutrition Accumulation in the Korean Rapeseed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온실 내에서 선망 등 유채 6품종과 4계통에 대해 지하수(대조구) 및 해수 염 농도별 처리(해수 EC 4, 8,16 dS m−1)를 통해 염분에 대한 유채의 생리반응과 품종간내염성 차이를 조사하고자 수행 되었다. 해수 염 처리에 따른 유채 경장은 해수 염 농도의 증가에 반비례하였고, 해수 염농도 EC 8 dS m−1 이상 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종실수량도 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 8 dS m−1 이상에서 종실수량이 비교적 높았던 품종은 탐미유채, 탐라유채, 선망으로 나타난 반면, 내한유채과 목포114호는 종실 수량이 급속히 감소하여 품종간 내염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종자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올레인산 함량이해수 EC 4 dS m−1 처리구에서 소폭으로 증가(0.2~3.4%)를 보이다가 해수 EC 8 또는 16 dS m−1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하지만, 올레인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해수 염 농도별 처리에 따른 유채 유묘의 무기이온들을 분석한 결과, Na+와 Mg2+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고,K+는 감소하였다. 식물체 내의 이러한 무기이온의 함량 변화와 토양환경의 높은 염 농도가 유채 생육 억제 및 수량 저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염분 농도가 높은 신간척지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발아기와 생육초기에 내염성에 강하고, 생육후기에 수량성이높은 유채 품종을 선발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다.

Effects of different salinity levels (Ground water and EC 4, 8, 16 dS m-1) on six Korean rapeseed cultivars and four lines were examined. Plant height, dry weight and seed yields decreased approximately linearly as salinity levels increased. Under various salinity levels, Tammiyuche, Tamlayuche, and Sunmang had the highest seed yields of all the cultivars or lines examined, whereas Naehanyuche and Mokpo#114 had the lowest. In addition, proline content dramatically increased under seawater treatment of EC 8 and 16 dS m−1, whereas the level of proline in EC 4 dS m−1 was similar to the control indicating that the plant growth was significantly affected at EC 8 dS m−1 and above. Furthermore, under the three different salinity levels, fatty acid compositions and mineral nutrition accumulation in the rapeseed were investigated. Oleic acid content increased slightly at EC 4 dS m−1, when compared to control plants. The composition of other fatty acids was almost not changed. Absorption rates of mineral ions were determined for the six cultivars and four lines. Salinity significantly increased Na+ and Mg2+ in leaves, whereas it reduced K+. Overall plant response depends on the kinds of salts contributing to salinity.

저자
  • 이영화(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Yong-Hwa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태성(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Tae-Sung Lee
  • 김광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Kwang-Soo Kim
  • 장영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Young-Seok Jang
  • 조현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Hyun-Jun Cho
  • 남상식(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 Sang-Sik Nam
  • 서세정(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팀) | Sae-Jung Suh
  • 박광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Kwang-Geu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