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임목생장 모니터링 지역에서의 임분생장변화 및 탄소저장·흡수량 평가 KCI 등재

Stand Growth Analysis and Carbon Stocks/Removals Assessment on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8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운두령 일대에 설치된 잣나무 등 5개소 임목생장 모니터링구를 대상으로 생장변화를 구명하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임목생장 모니터링구에서의 각 수종별 단위면적(ha)당 연평균 임분재적 생장율은 잣나무 6.6%, 낙엽송 3.8%, 소나무 1.8%, 신갈나무 1.3%, 자작나무 0.7% 순으로 나타났다. 각 고정조사구의 단위 면적(ha)당 탄소저장량은 2004년과 2014년에 각각 활엽수인 신갈나무가 186.1 tC/ha, 200.0 tC/ha 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소나무, 낙엽송 순이었다. 자작나무는 가장 적은 48.6 tC/ha, 55.2 tC/ha을 나타내었다. 연간 이산화탄소흡수량은 신갈나무(12.6 tCO2/ha/yr.), 낙엽송(12.1 tCO2/ha/yr.), 잣나무(11.3 tCO2/ha/yr.) 순으로 나타나 수종별 표준 탄소 흡수량 기준보다 모두 높은 수치를 보여 주었다. 실제 연평균 탄소흡수 증가율을 보면 상대적으로 신갈나무, 소나무에 비해 모니터링구 설치 당시 유령림이었던 잣나무(2.9%)와 낙엽송(0.6%)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천연림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노령기에 접어들면서 어느 정도 생장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고산지대 산림이라는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운두령의 산림은 수종별 전국적인 평균 탄소흡수량 기준과 비교하여 흡수량이 더 높아 이 지역에서의 산림도 여전히 충분한 탄소저감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variation in tree growth of five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which were set up at the Undulyeong Hongchunggun Kangwondo, Korea. It provides basic data for forest management by calculating carbon storage and absorption in the Undulyeong area. The annual growth rates of stand volume per hectare in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were 6.6% (Pinus koraiensis), 3.8% (Larix kaempferi), 1.8% (Pinus densiflora), 1.3% (Quercus mongolica), and 0.7% (Betula platyphylla), respectively. Carbon stocks per hectare in each plot in 2004 and 2014 was high in Q. mongolica (186.1 tC/ha and 200.0 tC/ha), followed by P. densiflora and L. kaempferi. Carbon stocks of the B. platyphylla in 2004 and 2014 were the least, 48.6 tC/ha and 55.2 tC/ha, respectively. Annual CO2 removals (t/CO2/ha/yr) was 12.6 (Q. mongolica), 12.1 (K. kaempferi), 11.3 (P. koraiensis). This shows that these values are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of each species. According to the annual increment rate of carbon removals, P. koraiensis and L. kaempferi, which were relatively younger forests than compared to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were 2.9% and 0.6% higher than other species. This result is due to a slow growth rate since the natural forest had become the mature forest. Carbon removals in Undulyeong forest, despite it being located in the alpine region in Korea, is high compared with the standard carbon removals for each species. So Undulyeong forest has high potential pertaining to carbon removal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공시 재료
  2.2 분석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3.1 임분생장변화
  3.2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Ⅳ. 결 론
 »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소원(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So Won Kim
  • 강진택(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Jin Taek Kang
  • 황정순(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Jeong Sun Hwang
  • 이선정(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Sun Jeoung Lee
  • 박현(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Hyun Park
  • 손영모(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Yeong Mo S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