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직파 재배시 파종량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종한 녹양벼를 이용하여 4개의 파종량을 두고(30, 60, 90 및 120 kg/ha) 수행하였다. 출현일, 출수기, 녹색도 및 내병성은 파종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커졌으며(p<0.05) 분얼수는 줄어들었다. 건물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ADF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졌고 NDF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TDN 함량은 12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잎-줄기-정조 비율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조비율은 줄어들었으며 잎의 비율은 약간 높아졌고 줄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60 kg/ha 파종구에서 가장 높은 소득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직파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60kg/ha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추천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the Grassland and Forag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7 to 2008. Whole crop rice variety, "Nokyang",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was directly seeded with four different seeding rates (30, 60, 90 and 120 kg/h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found in emergence date, heading date, greenish and disease resistance based on the seeding rates. Plant height increased at higher seeding rates but the tiller number per plant decreased (p<0.05). The dry matter (DM)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seeding rates (p<0.05) while the yield of fresh and dry matter increased with incremented seeding rates (p<0.05).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seeding rates, but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did not show a similar tendency.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was lowest with 120 kg/ha seeding rate. The grain ratio decreased at higher seeding rates. In economic analysis, the plot seeded at a rate of 60 kg/ha showed the highest income increment. Although high seeding rates increased the DM yield, a seeding rate of 60 kg/ha is recommended as the proper seeding rate for direct-seeded whole crop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