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주요 초다수 벼 품종의 지역간 수량 변이 KCI 등재

Regional Yield Variation of Some Korean High-yielding Rice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2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쌀 소비 확대를 위하여 가공용 원료곡으로 사용되는 초다수 품종은 재배연도 및 재배지역 기상의 영향으로 수량 변이가 크게 나타나 안정적인 재료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초다수 품종들에 대한 지역별 수량성 변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여, ‘안다’ 등 5품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관련 형질의 변이는 ‘큰섬’이 가장 작아 지역별로 안정된 생육을 보였고, 다른 품종들은 중간 정도의 안정성을 보였다.
2. 수량관련 형질별 변이의 크기는 이삭당 입수>등숙율>정현비율>현미천립중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기준으로는 ‘큰섬’과 ‘한아름2호’가 지역별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공주와 충주에서 공시 품종들의 수량성이 육성 당시보다 낮았으나, 보성에서는 유사한 수량성을 보였고, 특히 ‘큰섬’이 8.40MT/ha 으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여 다른 지역에서도 검토가 더 필요하였다.
4. 초다수 품종의 수량에는 이삭당 입수가 1차 영향 요인이지만, 등숙율이 높아야 증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an effort to increase rice consumption and self-sufficiency ratio,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is using high-yielding rice varieties as raw materials recently. However, yield of the high-yielding rice varieties showed variation annually due to regional weather condition. It gives numerous difficulties to rice processors with unstable raw material supply and to farmers with unstable grain yield and incom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regional yield variation of high-yielding rice varieties used for processing raw materials. For growth-related traits, 'Keunseom' showed stable growth habit with the smallest variation by region, and other varieties showed moderate stability. Variation of yieldrelated traits wa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grain per panicle, grain fertility, dehulling recovery ratio, and 1,000 grain rice weight. ‘Keunseom’ and ‘Hanareum2’ showed high stability to regional variation. Yield potential of the rice varieties in Gongju and Chungju was lower than the yield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LAT). In Boseong, however, yield potential of the rice varieties were similar to those of yield in LAT. Especially, ‘Keunseom’ showed the highest yield, 8.40 MT/ha.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xperiments on regional yield variation should be conducted in more regions for several years. Also, grain number per panicl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rait to increase yield potential of the high-yielding rice varieties. At the same time, improvement of grain fertility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high-yielding rice varieties.

목차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지역별 생육형질 변이
  지역별 수량관련 형질의 변이
  지역별 수량성의 변이
 적 요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
  • 원용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ng Jae Won
  • 안억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Eok Keun Ahn
  • 이정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ng Heui Lee
  • 서정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ng Pil Suh
  • 이점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m Sik Lee
  • 장재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ae Ki Chang
  • 최용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ng Hwan Choi
  • 황택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Taek Sang Hwang
  • 임영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 Taek Lim
  • 하운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Woon Goo Ha
  • 정응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Eung Gi Je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