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 및 자몽종자추출물 첨가가 돈육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ochineal Color, Green Tea Extract and Grapefruit Seed Extract Additions on Pork Jerky Qu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3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인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의 흥미첨가농도범위를 각각 0.02-0.08, 0.05-0.117 및 0.05-0.117%(w/w)로 놓았으며 혼합비율로서 혼합물 구조모형으로 설계하여 돈육포의 품질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색상 면에서 a값에서는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을 각각 0.02, 0.15 및 0.05%의 농도로 첨가 시 가장 높은 값인 14.5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7.9이었다. 60oC의 가속저장에서 대조구의 경우 저장 7일 후 TBA값의 증가정도는 80.20%이었으며 처리구 중 가장 작은 값을 보인 것은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의 농도가 각각 0.05, 0.05 및 0.10%에서 나타났으며 그때의 증가율은 16.44%이었다. 저장초기 천연첨가물질 혼합비율에 따라서 총 균수는 3.39-3.69 log CFU/g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대조구의 3.41 log CFU/g과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5oC의 저장에서 대조구의 경우는 7일 후 약간 증가하였으나 천연물질을 첨가한 경우에는 대부분 감소하였다.

Grapefruit seed extract (GS, 0.02-0.08%), cochineal color (CC, 0.05-0.117%) and green tea extract (GT, 0.05-0.117%) additions as natural materials based on simplex lattice composite design were applied to analyze the quality of pork patt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highest Hunter's a value (14.5) was appeared in 0.02% of GS, 0.15% of CC and 0.05% of GT additions among 10 experimental points. While, that of control was only 7.9. The lowest increment of TBA value (16.44%) based on initial storage was obtained in 0.05% of GS, 0.05% of CC and 0.10% of GT additions, which was lower than that (80.20%) of control after 7 days of storage at 60oC. Total viable bacteria number ranges of pork jerky in initial storage stage was 3.39-3.69 log CFU/g, which was similar that of control (3.41 log CFU/g). Total viable bacteria number was slightly increased in control after 7 days of storage at 25oC. However, those of treatments using GS, CC and GT additions were decreased mostly during storage.

저자
  • 김희선(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Hee Sun Kim
  • 성필남(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Pil Nam Seong
  • 김명환(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Myung Hwa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