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식품 섭취량 산출 방법 개발: 들깻잎 섭취량을 중심으로 KCI 등재

Estimation of Food Commodity Intake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bases: With Priority Given to Intake of Perilla Lea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5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1998년(제1기)부터 2008년(제4기 2차) 조사까지 총 5기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들깻잎, 생것’, ‘들깻잎, 데친것’, ‘들깻잎, 찐것’, ‘들깻잎, 통조림’의 섭취자 및 섭취량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섭취량 자료로부터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들깻잎 섭취자의 수 및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들깻잎의 섭취량에 대한 분석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전체 응답자의 평균 섭취량(응답자 평균 섭취량), 들깻잎 섭취자의 평균 섭취량(섭취자 평균 섭취량), 상위 5%의 극단 섭취자의 평균 섭취량(극단 섭취량), 남성 및 여성의 평균 섭취량, 20세 미만과 20세 이상의 평균 섭취량의 5가지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들깻잎 섭취자의 수 및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들깻잎 섭취자의 수는 조사연도별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1일 7-10명 중 1명이 들깻잎을 섭취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섭취자 비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평균 1.22배 더 많았다. 응답자 평균 섭취량은 2.20 g이었으며, 섭취자의 평균 섭취량은 2005년에서 가장 높았고(21.40 g), 1998년과 2008년에 비하여 0.24 g 정도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조사연도에서 남성의 섭취량이 여성에 비해 높았고, 20세 미만의 섭취량은 전체적으로 20세 이상 섭취량보다 낮았다. 극단 섭취량 1998년에서 2005년까지의 섭취량이 평균 78.02 g으로 높았지만, 2007년과 2008년에는 평균 55.58 g로 낮아졌다. 들깻잎 섭취형태를 분석한 결과 ‘들깻잎, 생것’, ‘들깻잎, 통조림’, ‘들깻잎, 데친것’, ‘들깻잎, 찐것’ 순으로 응답자 수 및 섭취량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중 ‘들깻잎, 데친것’, ‘들깻잎, 찐것’의 데이터가 충분치 않아 결과가 좋지 않게 나왔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섭취량 데이터는 2007년부터 상시 조사를 시작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시행된 연도에 따라 조사 기간 및 계절이 1998년과 2001년에는 11-12월, 2005년에는 4-6월로 일관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간 일일 섭취량을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확대하면 들깻잎 이외의 다른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및 이들의 가공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의 섭취량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을 통해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섭취하는 화학 잔류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safety and security of food supply should be one of the primary responsibilities of any government. Estimation of nation’s food commodity intakes is important to control the potential risks in food systems since food hazards are often associated with quality and safety of food commodities. The food intake databases provided b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re good resources to estimate the demographic data of intakes of various food commodities. A limitation of the KNHANES databases, however, is that the food intakes surveyed are not based on commodities but ingredients and their mixtures. In this study, reasonable calculation strategies were applied to convert the food intakes of the ingredients mixtures from the KNHANES into food commodity intakes. For example, Perilla leaf consumed with meat, raw fish, and etc. in Korean diets was used to estimate its Korean intakes and develop algorithms for demographic analysis. Koreans have consumed raw, blanched, steamed, and canned perilla leaf products.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he perilla leaf were analyzed demographically, for examples, the intakes by gender, age, and etc.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otal perilla leaf were 2.03±0.27 g in 1998, 2.11±0.26 g in 2001, 2.29±0.27 g in 2005, 2.75±0.35 g in 2007, and 2.27±0.20 g in 2008. Generally, people equal to or over 20 years of age have shown higher perilla leaf intakes than people below 20. This study would be contributed to the estimation of intakes of possible chemical contaminants such as residual pesticides and subsequent analysis for their potential risk.

저자
  • 김승원(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Seung Won Kim
  • 정준호(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Junho Jung
  • 이중근(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안전팀) | Joong-Keun Lee
  • 우희동(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안전팀) | Hee Dong Woo
  • 임무혁(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과) | Moo-Hyeog Im
  • 박영식(고려대학교 건강기능식품연구센터) | Young Sig Park
  • 고상훈(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Sanghoon K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