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가자 추출물의 기능성 검정 KCI 등재

Functional Investigation of Ogaza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6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자생하는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 열매(Ogaza)를 80% MeOH 추출하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써의 기능성을 규명하였다. 오가자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은 오가자 1 g 당 56.1±5.2 mg 의 gallic acid로 나타났다. 오가자 추출물 0.25, 0.5, 1, 2 mg/mL은 각각 vitamin C 34.0, 73.0, 194.3, 339.7 μg/mL에 해당하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오가자 추출물 1 과 2 mg/mL의 농도에서 LPS로 유도한 TNF-α와 IL-6의 생성량을 각각 22±2, 19±6% 그리고 18±2, 24±3% 억제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COX-2 luciferase 활성이 오가자 추출물(0.25, 0.5, 1, 2 mg/mL)에 의해 각각 80±1, 83.±7, 96±4, 98±2%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잎 이나 뿌리에 비해 연구 및 활용도가 낮았던 오가피 열매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능을 규명함으로써, 오가자가 고부가가치 기능성식품소재로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Multiple lines of study have shown that Acanthopanax species have anti-oxidant and chemopreventive effect. However, the suitability of Acanthopanax sessilifloru fruit (Ogaza) as a functional food source remains to be investigated. Therefore,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gaza as a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substance. The phenolic content of Ogaza is 56.1±5.2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 per 1 g of Ogaza. The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Ogaza extract at 0.25, 0.5, 1, or 2 mg/mL were 34.0, 73.0, 194.3, or 339.7 μg/mL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nat capacity (VCEAC), respectively. Ogaza extract (1 or 2 mg/mL) inhibited LPS-induced TNF-a production (decrease of 22±2% or 19±6%, respectively). It also inhibited LPS-induced IL-6 production (decrease of 18±2% or 24±3%, respectively). In addition, Ogaza extract (0.25, 0.5, 1, or 2 mg/mL) inhibited COX-2 luciferase activity (decrease of 80±1%, 83.±7%, 96±4%, or 98±2%, respectively).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gaza is promising as a functional food source due to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저자
  • 정성근(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바이오모듈레이션 전공) | Sung Keun Jung
  • 이형주(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바이오모듈레이션 전공) | Hyong Joo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