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립생태원 캠퍼스 내 주요 식생의 탄소수지 KCI 등재

Carbon Budget in Cam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1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 캠퍼스의 탄소수지를 정량화하 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국립생태원 캠퍼스의 기존 식생 중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 가장 넓은 면적 을 차지하고 있는 곰솔군락과 밤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순생산량(NPP)은 상대생장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EGM-4를 적용하여 측정하였 다. 곰솔군락과 밤나무군락의 순생산량은 각각 4.9 ton C ha-1 yr-1과 5.3 ton C ha-1 yr-1으로 나타났고, 종속영양 생물 호흡량은 각각 2.4 ton C ha-1 yr-1과 3.5 ton Cha-1 yr-1으로 나타났다. 순생산량과 종속영양생물 호흡량을 차감 계산하여 얻은 순생태계생산량(NEP)은 곰솔군락 과 밤나무군락에서 각각 2.5 ton C ha-1 yr-1과 1.8 ton C ha-1 yr-1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곰솔군락과 밤나무군락의 생태계순생산량 지수를 기존 식생에 적용 하고 다른 연구로부터 얻은 여러 식생유형의 생태계순 생산량 지수를 도입 식생에 대입하여 평가된 국립생태 원에 성립된 전 식생의 탄소흡수능은 147.6 ton C ha-1 yr-1로 나타났고, 이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541.2 ton CO2 ha-1 yr-1이었다. 이러한 탄소흡수능은 에코리움으로 알려진 유리온실을 비롯하여 국립생태원 내 여러 시설 을 운용하며 배출하는 탄소량의 62%에 해당한다. 이러 한 탄소상쇄능은 대한민국 국토 전체 및 전형적인 농촌 지역인 서천군의 탄소상쇄능의 약 5배에 해당한다. 현재 진행 중인 기후변화가 지구적 차원의 탄소수지 불균형 에 기원했음을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시도한 토지이용 유형을 반영한 공간차원의 탄소수지 평가는 기후변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a carbon budget of major vegetation types established in the cam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Carbon budget was measured for Pinus thunbergii and Castanea crenata stands as the existing vegetation. Net Primary Productivity (NPP) was determined by applying allometric method and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by EGM-4. Heterotrophic respiration was calculated as 55% of total respiration based on the existing results.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wa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NPP and heterotrophic respiration (HR). NPPs of P. thunbergii and C. crenata stands were shown in 4.9 ton C ha-1 yr-1 and 5.3 ton C ha-1 yr-1, respectively. Heterotrophic respirations of P. thunbergii and C. crenata stands were shown in 2.4 ton C ha-1 yr-1 and 3.5 ton C ha-1 yr-1, respectively. NEPs of P. thunbergii and C. crenata stands were shown in 2.5 ton C ha-1 yr-1 and 1.8 ton C ha-1 yr-1, respectively. Carbon absorption capacity for the whole set of vegetation types established in the NIE was estimated by applying NEP indices obtained from current study and extrapolating NEP indices from existing studies. The value was shown in 147.6 ton C ha-1 yr-1 and it was calculated as 541.2 tonCO2 ha-1 yr-1 converted into CO2. This function corresponds to 62% of carbon emission from energy that NIE uses for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the glass domes known in Ecorium. This carbon offset capacity corresponds to about five times of them of the whole national territory of Korea and the representative rural area, Seocheongun. Considered the fact that ongoing climate change was originated from imbalance of carbon budget at the global level, it is expected that evaluation on carbon budget in the spatial dimension reflected land use pattern could provide us baseline information being required to solve fundamentally climate change problem.

저자
  • 김경순(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Kim, Gyung Soon
  • 임윤경(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Yun Kyung Lim
  • 안지홍(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Ji Hong An
  • 이재석(건국대학교 생명과학특성학부) | Jae Seok Lee
  • 이창석(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Chang Seo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