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릉숲에서 개벌 후 나비군집의 변화 KCI 등재

Change of Butterfly Communities After Clear Cutting in Gwangneung Fo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2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본 연구는 개벌 후 나비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1년 개벌지, 임도, 산림에서 5월부터 11월까지 선조사법을 실시했다. 조사결과, 총 32종 398개체의 나비가 관찰되었다. 먹이생태지위 범위와 서식처 유형에서의 나비 개체수는 개벌지가 산림보다 유의하 게 높았다. 나비의 종수와 종다양도는 개벌지가 산림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개벌지에서 환경부 취약종 기생나비와 은점표범나비의 많은 개 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개벌로 인하여 형성된 초지는 산림생태계에서 나비의 다양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ange of butterfly community after clear cutting. Butterfly survey was conducted in clear cutting area, forest road, and forest using line transect method from May to November in 2011. A total of 32 species and 398 individuals of butterflies were observed. Abundance of food niche breadth and habita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lear cutting area than in forest. Estimated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lear cutting area than in forest. In clear cutting area, Leptidea amurensis and Argynnis niobe, vulnerable species, were abund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grasslands formed by clear cutting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butterfly diversity in forest ecosystem.

저자
  • 이철민(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Cheol Min Lee Corresponding author
  • 권태성(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Tae-Sung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