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반답과 간척답에서 사료용벼 재배시 생육특성 및 사료가치 KCI 등재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Silage Rice on Paddy Field and Reclaimed Tidal 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7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연구는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하여 조사료를 생 산함으로써 간척지 이용률 증진과 조사료생산의 두가지 가 능성을 검토해보고자 일반답과 간척답에서 사료용벼를 재 배하여 생육특성, 총체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조사하였다. 1. 출수기는 일반답에서 8월15일에서 8월30일, 간척답에 서 8월14일에서 8월 29일이었으며, 간척답이 일반답 보다 1~2일 빨랐으며, 목우는 일반답에서 8월 26일, 간 척답에서 8월 27일로 수원 544호를 제외하고는 가장 늦었다. 2. 초장은 일반답에서 105~135 cm범위이었고, 간척답에 서 97~126 cm범위였으며 일반답에서는 목양이 간척 답에서는 수원544호가 가장 컸다. 주당경수는 일반답 과 간척답 모두 녹양이 16개로 가장 많았고 총체수량 은 일반답은 15.26~23.24 MT ha-1, 간척답은 11.94~18.89 MT ha-1범위이었으며 목우벼가 두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각품종별 수량은 일반답에 비하여 78~84% 수준이었다. 3. 단백질 함량은 일반답에서는 녹양벼가 높았으나 간척 답에서는 6.7~8.7%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 고 목양벼가 8.7%로 가장 높았다. 각 품종별 NDF는 31.2~55.5% 수준을 나타냈으며 ADF는 일반답에 비 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소화 양분총량을 계산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목우벼가 71.2%로 가장 높 았고 전체적으로 60%이상의 함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배하여도 사료로서의 가치는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 었다. 4. TDN수량을 비교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TDN수량은 목우벼가 16.54 MT ha-1로 가장 높았으며 간척답에서 도 12.69 MT ha-1 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할 경우 일 반답에 비하여 80%정도의 수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 배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목우를 재배할 경우 수량 및 사료가치면에서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s of the whole crop silage rice from paddy field and reclaimed paddy field. The heading dates of tested varieties was August 8 to August 30 in the paddy field, 1~2 days later than the reclaimed paddy field's August 6 to August 29. Plant height was in the range of 105~135 cm in paddy field, and 97~126 cm in reclaimed paddy field, respectively. The plant height of Mokyang was tallest in the paddy field, but Suwon 544 was tallest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The number of tiller per plant of Nokyang was largest in the paddy field. Dry matter (DM) yield of whole crop rice ranged from 15.26 to 23.24MT ha-1 in the paddy field and 11.94 to 18.89 MT ha-1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The highest DM yield in both fields was attained by Mokwoo. Comparing with the paddy field, the reclaimed paddy field achieved 78~84% in the DM yiel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varieties was 8.5 to 11.6% in the reclaimed tidal land and 6.7~8.7% in the paddy fiel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f varieties in both fields ranged from 31.2 to 55.5%. Suwon 544 recorded the highest NDF contents in both fields. All variet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idic detergent fiber (ADF) which had values ranging from 22.3 to 33.2%. Total digestion nutrient (TDN) was more than 60% overall in both fields. Regarding TDN yield, Mokwoo recorded 16.54 MT ha-1 in reclaimed tidal land and 12.69 MT ha-1 in the paddy field, which showed the highest figure among the varieties. These results suggest the feasibility for cultivation of the whole crop silage rice in reclaimed paddy field, which showed 80% of the yield compared to paddy field, and implied that Mokwoo would show the most excellent yield and feed value

저자
  • 조광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wang-Min Cho Corresponding author
  • 백남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Nam-Hyun Back
  • 양창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Chang-Hyu Yang
  • 신평(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Pyung Shin
  • 노태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Tae-Hwan Noh
  • 이건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Geon-Hwi Lee
  • 이경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yeong-Bo Lee
  • 박기훈(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i-Hu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