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도시경관 이미지 개선방안연구 −월미도 은하레일을 중심으로− KCI 등재

Study to Improve the Urban Landscape Using a Simulation −A Case Study of the Wolmi Galaxy Rail in Wolmi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0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최근 증가하는 경관에 대한 관심에 따라 도시경관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도시경관을 객관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며 그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월미은하레일 이 월미도 경관이 끼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여 월미도 환경과 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월미도의 입지여건, 월미은하레일의 현황 및 관광객·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만든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든 연령층으로 폭넓게 조사하였다. 대상지의 사진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4가지 변화를 주어, 기존 사진을 포함 총 5가지 사진을 통한 시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월미은하레일을 철거하는 방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지만, 공사와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두 번째로 선호도가 높았던 색을 변경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월미도의 경관개선에 가장 효율적인 경관개선 방법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최대한을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in urban landscape management. In order to present an objec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urban landscapes,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s for a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Wolmi Galaxy Rail on the natural scenery of Wolmido and presents suggestions to impro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scenery of Wolmido. The location conditions of Wolmido, status of Wolmi Galaxy Rail, and number of visitors were evaluated; in addition, opinions were gathered via a survey and simulation. The assessments included a visual evaluation with five pictures that offered the original setting of the study site. As a result, the highest preference was for removing the Wolmi Galaxy Rail monorail.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second highest preference was influenced by financial considerations and practical improvements to the scenery of Wolmido. To generate more information about how transit improvement measures affect urban landscapes, economics and aesthetics must be factored into future development proposals.

저자
  • 이효정(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Lee, Hyo Jung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uh, Joo Hwan Corresponding author
  • 최유나(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Choi, Yoo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