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석재의 고갈로 인해 인조암은 자연암의 대체소재로서 200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다. 인조암을 이용한 폭포는 다양한 형태로 바위연출이 가능하며, 인공지반에 설치시 자연암에 비해 구조 자체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구조 설계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인조암폭포는 외부공간에서 입면적으로 도드라지는 시설물로서 자연암과 유사한 경관조성과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인조암폭포를 자연암과 유사한 경관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형태, 질감, 색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형태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입체감 있는 매스분할, 모서리의 각이 돋보이는 형태, 자연스러운 크랙 표현이며, 질감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다양한 기법에 의한 질감표현, 음영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며, 색채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자연암에 유사한 색상연출, 인조이끼 활용이다. 부가적으로 포트에 의한 식재, 인접 녹지에 덩굴성 식물 식재, 미스트분수의 활용으로 인조암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입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변색, 녹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변색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자연스러운 변색을 위해 도트기법에 의한 도색이 필요하며, 백화발생 구간에는 인조이끼 처리가 필요하다. 인조암을 활용하여 폭포와 연계된 수조경계부, 수조바닥면을 일체화하여 조성할 경우 녹조 발생시에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경관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은 인조암폭포의 품질편차를 줄이고 입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특화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설계 및 시공 단계별로 고려해야할 세부적인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과업은 핵심적인 농촌자원이자 경관생태자원인 마을숲 및 주변의 시설을 활용하여 지역 및 마을의 경관생태적 복원 및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경관계획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상지는 장수군 장수읍에 위치한 노하숲으로, 현재 이곳을 포함한 장수읍 일원은 2017년부터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선도지구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계획의 비전 및 방향을 “사람과 숲이 어우러진 행복공감 커뮤니티 숲 조성”로 설정하였으며, 훼손되어온 노하숲의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면서도 주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장수군 노인/장애인복지관, 행복나눔센터(계획) 등 주변시설의 앞마당 공간을 제공하여 휴게, 놀이, 여가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동선계획의 경우 무장애 순환형 동선을 구축하여 다양한 계층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동선계획으로 주 진출입부와 단절된 내부동선을 연결하였으며, 인접한 시설들과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기본 구상으로 첫째, UNESCO MAB의 기준에 따라 핵심구역은 생태숲으로, 완충구역은 정원숲을 그리고 협력(전이)구역은 피크닉숲으로 조성 및 유지·관리하고자 한다. 둘째 남동, 북서측에 진입마당을 설치하여 개방감을 확보하고 진입인지성과 편의성을 증진한다. 셋째, 나무놀이터, 그늘쉼터를 조성하여 아이들과 젊은 엄마들의 휴게, 놀이 및 정보공유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기본구상에 따른 주요 공간은 진입마당, 정원쉼터, 건강쉼터, 숲학습장 및 피크닉숲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라평현 명가촌(中國雲南羅平縣明格村)대상지로 명가촌의 생태보전 및 지역발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의 독특한 계단식 밭 경관(梯田景觀)은 중국의 중요한 농업문화유산이고 매우 높은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 면가촌에서 살고 있는 포의족(布依族)은 중국의 소수 민족에 속하며, 그 민족의 전통문화와 풍습은 중국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으로 보전가치 크다.
중국은 고대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수천 년 간 다른 민족문화와 지역문화가 서로 융합되어 상호 영향력이 중국의 전통문화를 형성했다. 소수 민족의 전통문화는 중국 민족의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운남성 포의족(布依族)은 독특한 의상, 음식, 건축, 무용, 공예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문명의 통일화에 따라서 운남 포의족 전통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중국 독특한 소수 민족 문화가 시간에 흐르면서 잊혀지고 없어지는 것은 세계 문화사에 커다란 동정이다. 그래서 포의족 문화의 전승과 보전에 대한 내용도 핵심 내용이다.
현재 명가촌의 농촌마을계획은 장기간 단일화 발전 모델로 이 지역의 보전가치가 큰 계단식 밭경관과 포의족(布依族)의 문화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명가촌의 경관보전 및 지역발전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명가촌의 생태마을설계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을 기반으로 지역 발전의 활성화 계획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명가촌 생태마을설계에 대한 내용이다. 우선 기존의 농촌마을계획을 진단하였다. 생태마을설계 방향은 자연생태환경과 포의족 전통건축 복원 및 계단식 밭의 보전이다.
둘째, 마을의 무형문화유산 보전방안이다. 농업문화유산은 현대 농업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꾸준히 발전함에 따라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적인 농업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 명가촌 계단식 경작지의 경제적 가치, 생태적 가치, 미학적 가치, 문화적 가치, 과학적 연구 가치 및 사회적 가치와 같은 여러 가치를 가지고 있다. 반면, 면가촌 전통적인 농법은 단지 1차 산업에 국한되어 있고, 계단식 경작지는 경사가 급하고 협소한 폭으로 기계경작이 어려워 농민의 소득과 생활수준을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한요소는 오히려 녹색농업, 유기농업 및 생태농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회요소가 되고 있다. 계단식 경작지와 연계한 생태관광의 개발을 장려하고, 다자간 경제 보상을 통한 유기농업과 특색 있는 농업을 촉진한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명가촌 Permaculture 및 생태관광 모행 도입이다.
1). 전통적 단일농업 → 다양한 산업구조 퍼머컬쳐로 전환(유채 재배업, 유채씨 기름 가공업, 양봉업, 유기농산물 판매 산업)
2). 생태관광 개발 (포의족 전통문화 홍보, 지역수익증가, 생태경관보전)
본 계획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구도심과 슬로시티 핵심지역간의 경관적 저해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경관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마스터플랜으로 정리하고, 삼지내마을 내 경관관리를 위한 주요 경관요소에 대하여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첫째, 창평슬로시티의 차별화 전략을 추구하기 위하여 5대 불가 원칙과 3대 특성화 전략을 “창평경관 선언”에 담아 행정가와 주민들에게 창평경관의 목표와 전략을 명확하게 전달하였다. 둘째, 기존 도시계획을 검토하여 슬로시티와 부합되는 도로의 직선화 부분의 재검토, 면소재지로서 어울리지 않는 고도화 토지이용계획의 수정, 산재한 공공기관의 통합화 유도 제안, 구도심과 핵심지역인 삼지내마을과의 연계방안을 제시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슬로시티 핵심지역인 삼지내마을의 경관관리를 위하여 주요 경관자원으로 인식되는 요소들에 대해 서로가 조화되면서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는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도시의 경관색채는 주민, 전문가, 관련 행정기관의 합력하여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경관형성과 정비, 관리유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계획은 서울시 도봉구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의 일환으로 그 목적은 자연친화적 도시를 지향목표로쾌적한 도시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경관색채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과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기 위함이다.색채계획은 지역의 여러 가지 자원과 특징이 총체적으로 반영되고 투영되어야만 정체성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주민의식조사를 통해 도봉구의 대표경관이미지와 지향이미지를 파악하여 경관색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시 전체의도시경관과의 연속되는 조화를 이루도록 서울색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도봉 대표색과 팔레트를 추출하였으며 특성화계획에 반영하였다. 따라서 주조색과 보조색은 도봉구의 자연환경의 색채특성을 반영하여 도시의 배경이 되도록 하였으며강조색은 권역의 유형에 따라 색조와 색상을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 색채가이드라인은 색채와재질감 및 제 특성을 고려하여 규정하고 그에 따른 예시를 제시함으로 실제 적용이 쉽도록 하였다.
광시면소재지는 예당저수지 연계 생태관광거점지로서 뿐만 아니라 황새마을(복원센터) 개장에 의한 생태관광객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기존 광시한우타운과 황새생태관광 및 광시 농업농촌테마공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광시한우타운의 이미지 제고,시가지 보행환경 및 가로경관 향상을 위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의 기본방향은 중심가로 활성화 및 편의시설확충을 통한 녹색농촌관광 거점공간 조성, 광시한우 이미지 고양 및 황새마을 연계강화를 통한 지역이미지 특화공간조성 및 친환경 수변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은 광시면소재지의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 생태관광과의 연계를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황새와 공존하는 쾌적한 하천경관형성, 생태계보전을 위한 정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광시면소재지가예산군 생태관광거점공간으로서의 기능 담당에 기여할 것이다.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자연 환경을 이용한 관광은 많은 열대 지역 국가에서 활성화되고 있으며 중요한 국가의 수익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문화 자원에 미치는 관광의 영향은 관광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과 문화적으로 민감한 관광 지역에 대한 적합한 계획과 관리는 지역의 경제적 수익과 더불어 지역 문화와 환경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화문화자원과 자연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관광사업의 관행을 탐구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 경관에 대한 주민 인식을 평가함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관광을 성취하기 위한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미래의 관광자원 개발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East Java지역의 Bromo Tengger Semeru국립공원(BTSNP)에 있는 Tengger 고산 마을에서 진행되었다. 문헌 자료와 주민 인터뷰를 통하여 최근 관광 현황과 자원 활용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의 관점, 문화 보전, 문화 경관 보호에 관한 사항을 주민 인터뷰와 설문지를 이용하여 얻었다. 식생 정보를 이용하여 최근 환경의 상황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BTSNP와 지역 주민의 정신적 문화 자원인 Tengger Caldera지역의 관광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문화와 자연 자원의 풍부성은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중요한 자본이다. 주민들은 관광 사업이 주민들에게 이익을 주고, 자연을 보전하고, 마을 주민들의 지속 가능한 전통적 생활을 보장하도록 계획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 경관의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자연 문화자원에 대한 고유적인 특성의 보전이 필요함을 설명하고 있다. 끝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 주민의 이익을 높이고 문화와 문화 경관을 균형 있게 보호하기 위한 생태적 장치가 필요하다.
The rsearch was an establishment of the important green spaces in Jeonju and to present the basic frame of green network. The relationship which leads to the green spaces and traditional cultual district needs the connetion of green corridor. The ecological view is used as the space for the passeuggest a connection on the base of the important green network between the green spaces and buildings as well as streets. Consequently, a creation plans of green spaces are demanded green corridor for the basic frame of green network in the tradional cultural district in Jeonju.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tudy is done on experts’ color perception.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of color experts ' view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energy business based on the color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ural land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rural area is not reflected well, and the symbolic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s the reverse image according to the energy business. The rural village’s image in the future, “Harmonious”, “Natural”, “Rural” were higher Figure. There were the most important an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such future harmony with nature in the color planning The colors match and is expected to be the color within the scope. Lack of awareness in the current farming town scenery is unsatisfactory.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was higher. Therefore, color according to a harmony with natur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arming model should be plan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illage project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tourism village. So, in this study, the current rural tourism village and storytelling planning are examined and the village project presented in village planning is also examined. And this study propose the storytelling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project through the case study related with the Susanri in Jeju.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rtant that each village projects are storytelling for tourism resource and improve rural tourism villag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story range, action planning, and management agency of village projects. Thirdly, it is desirable that the village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as reviving the local community. Comparing to the storytelling tourism plan, there are few rural tourism plans so far, so, it is difficult to applicate the system of the village project,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can help the rural tourism plan to ensure practicality.
Landscape elem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elements that have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ue to reckless development teem in rural area. Due to this, loc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visual landscape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 of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For that, this study measure guideline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gainst guideline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analyze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of australia which is similar to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compare both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stage of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assessment progressed systematically, but it was not practical because for the lack of survey and assessment method. Therefore, it should be suggested for the survey and assessment technique. The rural landscape plan, established in master planning st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local government’s landscape management on the ground of abstract technic of landscape management. For this sake, to develop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landscape element seems necessary.
This research was establishment of landscape formation plan to Yusang village region Yeongcheon city. Literature research, field research, surveys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by utilizing design code that appears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scenic views of the region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local population and preserve the indigenous landscape as well as improve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s, management, capital town of the region to form Yeongcheon the center was established in the landscape plan form.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apital region for the landscape formation plan, Humanities and Social Environment, Landscape Resources Status, Social Consciousness, landscape map, landscape design, code identification and basic design and planning through the basic steps to derive design guidelines were applied to the landscape formation plan. Formation landscape plan for the regional launch of the regional landscape improvements, region entrance space and yusang reservoirs place, rest zone in the sacred tree and nurse trees around the plan, and repair the town hall. residents living village road maintenance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develop a detailed plan, such as the lungs maintenance. The plan is likely to be able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landscapes to improve regional, creating a guide for future business landscape is formed to have a significant advantage as a basis.
This study discusses developing historical trails and ecological trails in rural area. Since the leisure time and interests in environment and health have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hikers who enjoy the beautiful landscape and regional culture through the exploration of natural regions has been growing. However, these various road haven't been related to the rural village in many cases, so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alternatives for revitalizing the region and improving incomes of non far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s of rural trail plan that fits for a scale of the rural village and loc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divided forms of the rural village road into type of the natural landscape resource (Gangreung Anbandegi Village) and that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 (Yongin Hakil Village) according to amenity resources of objective village. The plan for village road basically made by the best of valuable resources of village unit, connected existing 'Trail' of other departments to the village and suggested a case of plan applied to the field so as to emphasiz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 It should be possible to induce hikers to rural area and be suggested as a measure for improvement of village image, regional vitalization and incomes of non farm.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를 전제로 식물원마다 지역경관자원이 잘 반영되기 위한 방향제공과 식물원 조성 시 비교적 적은 예산과 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계획지표를 개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위계층(1계층)에서는 ‘자연자원(0.62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사문화자원(0.203)’, ‘사회자원(0.1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간계층(2계층)에서는 ‘문화자원(0.592)’, ‘생태자원(0.454)’, ‘역사자원(0.408)’, ‘공동체자원(0.408)’, ‘산림자원(0.400)’의 순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하위계층(3계층)에 있어서는 ‘식생(0.688)’, ‘마을전통(0.641)’, ‘축제(0.581)’, ‘숲(0.5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요도가 높은 것은 ‘식생(0.195)’, ‘숲(0.139)’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지(0.058)’, ‘습지(0.056)’가 다음 순이었다. ‘마을전통(0.053)’, ‘산(0.052)’, ‘지형지세(0.050)’도 계획 시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그 외 ‘마을 상징물(0.050)’, ‘전설(0.044)’, ‘축제(0.041)’ 등의 항목도 중요한 지표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지역 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조성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자연자원’의 ‘생태자원’, ‘산림자원’과 ‘역사자원’의 ‘마을전통’과 ‘문화자원’의 ‘전설’, ‘마을 상징물’과 ‘사회자원’으로서의 ‘축제’ 등이 중요한 계획지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의 계획 시 기존의 자연자원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담을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과 함께 사회자원을 수용할 수 있는 노력이 수반되어 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kless development policy, which has continued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caused landscape dam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very urgent to conserve the habitat and to establish systematic database. Recently,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landscape damage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and the necessity of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based on the biotop mapping has been issued as one of the solu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Guji-meon, Dalseong-gun, Daegu and will be formed into Daegu Science Park, and then to develop and apply th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based on biotop mapping in district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otop classification with field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total 13 biotop and total 63 biotop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rst evaluation with B-VAT, total 19 biotop types were classified I grade including natural river with abundant plants(BA) and so on. While V grade, which has lowest value, was classified 16 biotop types including vegetable garden adjacent to river(BC). Also the second evaluation, we analyzed total 30 areas such as 1a, 1b grades, which had special meaning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and biotop. Next, 2a, 2b, 2c grades were analyzed total 82 areas. Secondly, in the compliance with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we divided landscape planning model into two parts such as setting of improvement goal and detailed implement plan. For instance, setting of improvement goal, we classified 9 parts such as conservation region and parts of detailed implement plan, we classified total 28 planning indicators with 4 view such as the region which should be special protected from nature and landscape. Lastly, with the developed landscape model we applied to research areas, made maps, and differentiate proposals in each region. Specially, the final master plan was made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of detailed landscape planning. This study will be a useful data, which can solve the landscape damage problem systematically and control it landscape-friendly with biotop classification, evaluation,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and application method which we developed.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with the purpose of making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Landscape Plan in which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rural villages are reflected so that landscape in the medium to long term shall be established and managed. The issue that has been brought up is that procedures of Rural Landscape Plan an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Landscape Plan have been focused on facilities. The study carries out resources survey in agriculture, daily life and history and culture to mak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Landscape Plan in O-chon district. Through landscape evaluation map participated by local residents, landscape management areas which they can form and manage have been established. The study also suggests Projects and guidelines appropriate to management areas. The study has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the existing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Landscape Plan which is fundamentally devoted to specific projects. The study shows Landscape Plan in the medium to long term and suggests guidelines available to be used by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