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재래종 콩의 isoflavone과 saponin 함량 변이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45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고품질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 재래콩 292점의 isoflvone과 saponin 함량의 변이를 구명한 결과, 총 isoflavone 함량은 평균1390.2㎍/g 이었고 420.6∼2907.3㎍/g의 범위였다. isoflavone 함량의 분포는 1000∼1500㎍/g 범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1500∼2000㎍/g의 범위가 그 다음으로 높았고, 2500㎍/g이상은 5점 이었다. isoflavone함량은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순으로 높았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daidzein 및 genistein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 이었고, daidzein 과 genistein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총 saponin 함량은 평균4347㎍/g 이었고 1932∼8400㎍/g의 범위였다. Group A saponin 함량은 평균529㎍/g 이었고 243∼1231㎍/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 함량은 평균3817㎍/g이었고 1584∼7598㎍/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이 높은 자원은 IT226841, IT228304, IT228251이었으며, 총 saponin함량이 높은 자원은 IT226841(8,400㎍/g)이었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저자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주저자
  • 정헌상(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품공학과)
  • 신현만(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정재현(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박병덕(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 곽병삼(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 이효재(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 이지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