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의 양적 형질을 다변량으로 분석하여 유연관계를 해석하고, 품종을 분류하여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172품종의 군집분석 결과 7군으로 분류되었다. 제Ⅰ군에는 장단백목 외 13품종이 속하였으며, 100립중이 가장 무거운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Ⅱ군에는 충북백 외 111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짧으며, 1주종실중이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Ⅲ군에는 호서콩 외 5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긴 만생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Ⅳ군에는 팔달콩 외 3품종이 속하였으며,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Ⅴ군에는 광교콩 외 26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가장 짧은 조생종이었고, 경장이 짧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Ⅵ군에는 소명콩 외 5품종이 속하였고, 분지수가 많은 품종들이 분류되었다. 제Ⅶ군에는 아가4호 외 3품종이 속하였고, 경장, 협수 및 1주립수가 가장 많은 품종들과 100립중이 가장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콩 91품종에 대하여 SSR마커를 이용하여 품종판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다형성이 높은 5개 의 Primer(Sat_043, Sat_036, Sat_022, Sat_088, Satt045)를 이용하여 5단계로 판별하였다. 5개마커의 총 대립인자수 는 64개이었고, 범위는 10-15개이었으며, 평균대립인자수는 12.8개이었다. 판별 1단계의 Sat_043으로 판별 하였을 때 육성품종 91품종 중에서 부석콩(172bp)의 1품종이 판별되었고, 판별 2단계의 Sat_036으로 판별하였을 때 호장 콩(90bp)등 34품종이, 3단계의 Sat_022로 단경콩(230bp)등 29품종이, 4단계의 Sat_088로신팔달콩(160bp)등 12품 종이, 5단계의 Satt_045로 새별콩(132bp) 등 6품종이 판별되었으며, 82품종이 판별되었다. 판별되지 않은 9품종은 형태적특성에 의하여 서로간에 판별되었다.
        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콩 유망 장려품종 중 2009년까지 육성된 120품종의 종실 Saponin 함량의 변이를 구명하여 기능성 콩 품종개발 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콩 종실의 Group A와 B saponin을 합한 Total saponin 함량은 2431.1 ∼8231.3μg g-1의 범위였고, 평균은 4910.5μg g-1이었다. Total saponin 중, Group A saponin은 225.6∼1,193.3μg g-1의 범위였고, 평균은 592.5μg g-1이었다. Group B saponin은 2168.6∼7270.0μg g-1 범위였고, 평균은 4318.0μg g-1이었다. 각종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인식되는 Group B saponin이 높은 상위 품종은 원황콩, 녹채콩, 부광콩, 장 기콩 및 흑미콩 이었다. 콩 Saponin 함량은 품종,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육성연대는 2000년도 이후가, 용도는 나물콩이, 종실크기는 소립종이, 육성모지는 익산이 Total saponin 함량 이 가장 높았다. Total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2009년까지 육성된 콩 120품종들의 saponin 함량 변이를 구명하여 콩 기능성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aponin 함량은 Group A saponin이 225.6∼1,193.3㎍/g의 범위였고 평균은 592.5㎍/g이었으며, Group B saponin은 2168.6∼7270.0㎍/g 범위였고 평균은 4318.0㎍/g이었다. Group A와 B saponin을 합한 총 saponin 함량은 2431.1∼8231.3㎍/g의 범위였고 평균은 4910.5㎍/g이었다. 콩 saponin 함량은 품종,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 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인식되는 group B saponin이 높은 5개 품종들은 원황콩, 녹채콩, 부광콩, 장기콩 및 흑미콩 이었다. 육성연대는 2000년도 이후가, 용도는 나물콩이, 종실크기는 소립종이, 육성모지는 익산이 총 saponin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5.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 재래콩 292점의 isoflvone과 saponin 함량의 변이를 구명한 결과, 총 isoflavone 함량은 평균1390.2㎍/g 이었고 420.6∼2907.3㎍/g의 범위였다. isoflavone 함량의 분포는 1000∼1500㎍/g 범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1500∼2000㎍/g의 범위가 그 다음으로 높았고, 2500㎍/g이상은 5점 이었다. isoflavone함량은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순으로 높았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daidzein 및 genistein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 이었고, daidzein 과 genistein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총 saponin 함량은 평균4347㎍/g 이었고 1932∼8400㎍/g의 범위였다. Group A saponin 함량은 평균529㎍/g 이었고 243∼1231㎍/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 함량은 평균3817㎍/g이었고 1584∼7598㎍/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이 높은 자원은 IT226841, IT228304, IT228251이었으며, 총 saponin함량이 높은 자원은 IT226841(8,400㎍/g)이었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