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lky white spots appeared on red bean leaves in a red bean cultivation area located in Jangyeon-myeon, Goesan-gun, Chungbuk Province. After culturing the pathogen in PDA medium, their morphology was observed, and their genes were BLAST-searched in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a fungus called Rhizopus arrhizus. As a result of reinoculating the isolated pathogen on red beans, the same symptoms as those in the isolated leaves occurred. Characteristic colonies of R. arrhizuson PDA medium initially showed a bright color and then changed to dark gray over time, with mostly spherical sporangia. The sporangiospores were spherical or elliptical, mostly irregular, and small in size.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disease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red beans and was called red bean brown leaf blight caused by Rhizopus arrhizus A. Fisch (syn. R. oryzae).
        4,0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 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 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 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구마 칩의 최적 제조 조건 확립과 적합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신자미, 주황미 및 하얀미를 시료로 세절 두께(1~3㎜), 침지 당액 농도(15~30%), 데치기 시간(15~60 sec), 굽기온도(110~140℃) 및 굽기 시간(23~31 min)을 달리하여 칩을 제조하고, 각 조건별 관능평가와 파괴강도를 측정하였다. 품종 별 최적 제조 조건은 신자미는 각각 1 ㎜, 20%, 45 sec, 120℃ 및 31 min이었으며, 주황미는 1 ㎜, 25%, 45 sec, 130℃ 및 29min이었고, 하얀미는 1 ㎜, 25%, 30 sec, 130℃ 및 27 min이었다. 칩 제조 후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원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칩에서 3.85~13.50% 범위에서 증가하였고, sucrose 함량은 10.31~20.67% 범위에서 25.24~34.06% 범위로 칩 제조 시 증가하였다. 칩의 관능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fructose, maltose, sucrose 함량, b-value 및 failurestress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칩의 제조 시 적합한 품종의 선택과 품종에 따른 최적 제조 조건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황미가 칩의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the metallo-phthalocyanine(MPcs) are sensitive to toxic gaseous molecules such as NO2 and also chemically and thermally stable. Therefore, lots of MPcs have been studied for the potential chemical sensor for NO2 gas using quartz crystal microbalance or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is study, 2,3,9,10,16,17,23,24-[octa-(dodecyloxy)] copper phthalocyanine and 2,3,9,10,16,17,23,24-[octa-(octyloxy)] copper phthalocyanine were synthesized and their possibility of LB film preparation were tested. It was confirmed by using FT-IR, DSC, NMR, UV-Vis absorption spectroscopy and Elemental Analysis that CuPc derivative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From the π-A characteristics and limiting areas of two CuPc derivatives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of LB films with these CuPc derivatives is possible.
        4,000원
        5.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the metallo- phthalocyanine (MPcs) are sensitive to toxic gaseous molecules such as NO2 and also chemically and thermally stable, Therefore, lots of MPcs have been studied for the potential chemical sensor for NO2 gas using quartz crystal microbalance(QCM) or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is study, ultra-thin films of octa(2-ethylhexyloxy)copper-phthalocyanine were prepared by Langmuir-Blodgett method and characterized by using UV-VIS absortion spectroscopy and ellipsometry. Transfer cond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B films were investigated and preliminary results of current-voltage(I-V) characteristics of these films exposed to NO2 gas as a function of film thickness and temperature were discussed.
        4,000원
        6.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본’은 주요 대추 유전 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뚜렷하게 작고 당도가 낮았다. 하지만 과실에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또한 ‘일본’은 종자형성능이 가장 높았다. 대추 유전자원들의 형태형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리적 기원에 따라 유전자원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일본’은 한국 및 중국 유전자원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종자형성능이 우수하고 기능성 성분이 높은 ‘일본’은 추후 대추 유전연구 및 교배육종을 통한 품종 육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7.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Recently, jujube (Zizyphus jujuba Mill.)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fruit, and its cultivation in rain shelter house is increasing to produce the high quality fresh jujub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jujube according to the types of rain shelter house. Methods an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5-year-old Bokjo cultivar cultivated in 3 types of rain shelter house, multi span rain shelter house with roof vent (Type I), single span house with a column in the center and roof vent (Type II) and single span house with a column in the center and without roof vent (Type III), and open field were examined. The sprouting and blooming period were different among the types of rain shelter house. The diameter of main stem was higher in rain shelter houses than in the open field.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uit number per leaf stem among the types of cultivation. The incidence of fruit cracking in open field cultivation which was 51.2%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Type I 21.6%, Type II 19.3%, and Type III 25.5%. The fruit size and weight in rain shelter houses, especially in Type III rain shelter hous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open field and the soluble solids content of fruit in Type I and Type II was higher than in Type III rain shelter house and the open field.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jujube were improved by cultivation in rain shelter house, and affected by the types of rain shelter house.
        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ngwonmi’, a new sweetpotato variety, was developed for table use by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14.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Benisatsuma’ and ‘Luby3074’ in 2006. The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were performed from 2007 to 2009, and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from 2010 to 2011. The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at five locations from 2012 to 2014, and it was named as ‘Pungwonmi’. This variety has cordate leaf shape, and its leaves, stems, nodes, and petioles are green. Storage root of ‘Pungwonmi’ has an elliptical shape, red skin, and light orange flesh. ‘Pungwonmi’ was moderately resistant to fusarium wilt, and resistant to root-knot nematode. Dry matter content was 31.2%, and texture of steamed storage root was intermediate. Total sugar content of raw and steamed storage roots of ‘Pungwonmi’ was higher than that of ‘Yulmi’. β-carotene content of ‘Pungwonmi’ was 9.1 mg/100g DW. Yield of marketable storage root over 50 g of ‘Pungwonmi’ was 24.3 MT/ha under the early season culture, which was 46% higher than that of ‘Yulmi’. The number of marketable storage roots per plant was 2.8 and the average weight of marketable storage root was 156 g under the optimal and late season culture. Marketable storage root yield of ‘Pungwonmi’ was 24.1 MT/ha under the optimum and late season culture, which was 26% higher than that of ‘Yulmi’. (Registration No. 6428).
        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vigor of a bearing shoot in ‘Bluecrop’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s and fruits. Bearing shoots were classified with BS (bearing shoot) and BMB (bearing mother branch). The vigor of bearing shoots were divided into four arbitrary categories; A was thin (< 6.0 ㎜) BMB and short (< 10 ㎝) BS, B was thin BMB and long (≥ 10 ㎝) BS, C was thick (≥ 6 ㎜) BMB and short BS and D was thick BMB and long BS. Shoots from D were longer (6.5 ㎝) and thicker (1.70 ㎜) than those from the others. Shoots of D had more leaves (5.8 ea) than those of the others. Leaf area of D was larger (13.5 ㎠)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first harvest of D was one week faster than the others. Ratio of big berry (> 14 ㎜) from the long BSs was higher (B : 41.7, D : 46.8%) than that from the short BSs. Soluble solid content of small berrys did not show any different according to vigor of bearing shoots, but soluble solid content of big berrys of the long BSs was higher (B : 16.2, D : 15.6 o Bx) than those of the short BSs. The thickness of BMB did not affect ratio of fruit size and soluble soild content. The long BSs would be proper than the short BSs for bearing bigger fruits.
        10.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아로니아의 소비촉진을 위해 아로니아에 사과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떫은맛은 감소되고 기호도가 향상이 된 아로니아 혼합잼을 다양하게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00% 아로니아 잼을 비롯한 90%, 70%, 그리고 50% 아로니아 잼을 제조한 뒤 4가지 잼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아로니아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pH는 감소하였고, 총산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아로니 아 함량이 감소할수록 명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와 황색 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하여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 다. 조직감에서 견고성과 탄력성, 점성, 씹힘성은 아로니아 함량이 100%일 때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과 전자공여능 은 아로니아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 다. 관능평가에서 색상과 향미, 신맛은 아로니아 함량이 증가하여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 발림성과 단맛은 아로니아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아로니아 함량이 70%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 다. 따라서 생리활성, 관능적인 면을 고려했을 때 70% 아로 니아와 30% 사과를 첨가한 아로니아 혼합잼의 경우 현재 한정된 범위의 가공식품의 재료로 쓰이고 있는 아로니아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1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주된 이용부위는 괴근으로 보조식량 및 간식용으로 이용되어 왔고, 엽병은 표피를 벗겨 나물용과 김치 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엽신 부분에 lutein과 β-carotene을 비롯한 여러 기능성 물질이 많이 함유 되어 있어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 식품으로 그 이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고구마의 이용부위의 확대는 고구마의 경 제적 가치를 제고 시킬 수 있는 수단뿐만 아니라 국민 식생활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몇 가지 고구마 품종들을 대상으로 엽내 lutein, β-carotene 및 total polyphenol 함량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고구마 잎의 lutein 함량은 105~391 ㎍/g로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주황미, 진홍미, 전 미, 율미 등이 각각 391, 348, 343, 310 ㎍/g으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고구마 잎의 β-carotene 함량은 240~1,038 ㎍/g으로 나타났으며, 주황미, 율미, 진홍미, 신자미 등에서 각각 1,038, 803, 772, 737 ㎍/g으로 다 른 품종들에 비해 높았다.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16.6~34.1 mg/g으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다호미, 대유 미, 신율미, 신황미 등에서 각각 34.1, 28.7, 27.9, 27.1 mg/g으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높았다. 품종별 잎의 수량성은 신황미, 주황미, 신자미, 다호미, 대유미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단위면적당 수량은 연작, 병 감수성 품종의 재배면적 증가, 이상기상 등으로 인해 ’00년 21.4MT/ha에서 ’12년에는 14.9MT/ha까지 꾸준히 감소하였다. 특히 고구마 주산지에서 덩굴쪼김병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덩굴쪼 김병 저항성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에 육성된 ‘예스미’는 덩굴쪼김병 저항성이 강한 품종으로서 육색이 담 주황색이고 껍질색은 붉은색이며 괴근의 모양은 장방추형이다. ‘예스미’는 목포34호(IT232329)를 모본, 덩굴쪼김 병 저항성 품종인 신건미(IT258213)를 부본으로 하여 2005년에 교배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력 검 정시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전남 무안 등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였다.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예스미’의 상품괴근수량은 ha당 45.9MT으로 ‘율미’의 15.5MT/ha 대비 196% 높았다. 지역적응시험 보통기재배 결과, 상품괴근수량이 ha당 23.9MT, 주당괴근수는 2.8개, 괴근평균중은 개당 143g이었다. 전남 무안에서 수행한 지역적응시험 조기재배 결과, 상품괴근수량이 32.5MT/ha, 주당괴근수는 4.2개로 많아 조기재배용으로도 적합하 였으며, 괴근평균중은 개당 117g으로 율미의 135g 보다 낮았다. 또한 ‘예스미’는 보통기재배 시 베타카로틴 함량이 15.7mg/100g으로 높았으며, 총유리당 함량과 감미도 역시 각각 30.3g/100g d.w.과 16.9로 ‘율미’ 보다 높았다. ‘예스 미’는 덩굴쪼김병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포장에서 재배될 경우 수량 증대로 인한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이며,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아 기능성 식품 등 가공 제품으로의 이용도 기대된다.
        13.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2009년까지 육성된 콩 120품종들의 saponin 함량 변이를 구명하여 콩 기능성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aponin 함량은 Group A saponin이 225.6∼1,193.3㎍/g의 범위였고 평균은 592.5㎍/g이었으며, Group B saponin은 2168.6∼7270.0㎍/g 범위였고 평균은 4318.0㎍/g이었다. Group A와 B saponin을 합한 총 saponin 함량은 2431.1∼8231.3㎍/g의 범위였고 평균은 4910.5㎍/g이었다. 콩 saponin 함량은 품종,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 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인식되는 group B saponin이 높은 5개 품종들은 원황콩, 녹채콩, 부광콩, 장기콩 및 흑미콩 이었다. 육성연대는 2000년도 이후가, 용도는 나물콩이, 종실크기는 소립종이, 육성모지는 익산이 총 saponin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14.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 재래콩 292점의 isoflvone과 saponin 함량의 변이를 구명한 결과, 총 isoflavone 함량은 평균1390.2㎍/g 이었고 420.6∼2907.3㎍/g의 범위였다. isoflavone 함량의 분포는 1000∼1500㎍/g 범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1500∼2000㎍/g의 범위가 그 다음으로 높았고, 2500㎍/g이상은 5점 이었다. isoflavone함량은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순으로 높았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daidzein 및 genistein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 이었고, daidzein 과 genistein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총 saponin 함량은 평균4347㎍/g 이었고 1932∼8400㎍/g의 범위였다. Group A saponin 함량은 평균529㎍/g 이었고 243∼1231㎍/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 함량은 평균3817㎍/g이었고 1584∼7598㎍/g의 범위였다. Group B saponin이 높은 자원은 IT226841, IT228304, IT228251이었으며, 총 saponin함량이 높은 자원은 IT226841(8,400㎍/g)이었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15.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13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콩 106 품종의 종실 isoflavone 함량의 변이를 구명하였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평균 1489.0 μg/g이었고, 527.9~3436.5 μg/g의 범위이었다. 구성성분의 함량은 daidzein은 평균 650.5 μg/g이었고, 153.0~1710.4 μg/g의 범위이었으며, glycitein은 평균 146.2 μg/g이었고, 32.2~308.2 μg/g의 범위이었다. genistein은 평균 692.3 μg/g이었고, 203.4~1502.4 μg/g의 범위이었다. 총 isoflavone 함량이 높은 품종은 백천(2553.9 μg/g), 보석콩(3436.5 μg/g), 대황콩(2709.2 μg/g), 대망콩2호(2595.0 μg/g), 장기콩(2769.9 μg/g), 풍원콩(2872.8 μg/g), 소진콩(2521.8 μg/g) 및 소록콩(2956.1 μg/g)이었으며, 국내 콩 품종 중에서 보석콩이 가장 높았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들의 isoflavone 함량은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육성연도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2000년대에 육성된 품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육성된 품종이 높았으며, 1980년 이전에 육성된 품종이 가장 낮았다. 용도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나물용 품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장류용 품종이, 그 다음으로 밥밑용 품종이 높았으며, 풋콩 및 올콩용 품종이 가장 낮았다. 종실크기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소립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립종이 높았으며, 대립종이 가장 낮았다. 육성모지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익산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밀양이 높았으며, 수원이 가장 낮았다.
        1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얼룩찰1호'는 자식계통 KBW23을 종자친으로 하고 KW33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알맹이가 흰색과 검정색의 두 가지 색을 가진 얼룩찰 옥수수이다. '얼룩찰1호'는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얼룩찰1호'의 출사일수는 76일로
        1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진주찰(수원찰57호)은 자식계통 KBW24을 종자친으로하고 KBW2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고품질 검정찰옥수수이다. 흑진주찰은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06~'08년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진주찰의 출사일수는 74일로 중만숙종에 속하며 이삭 길이가 16.0 cm로 찰옥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