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중생 최고품질 내병 내도복 다수성 신품종 “대보”육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77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2년 하계에 YR21247-68-1를 모본으로하고 밥맛이 우수한 영덕3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2/2003년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온실에서 26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3940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3년 하계포장에 F2 집단을 공시하면서 선발하여 2004년 하계에 F3세대를 육성하고 57계통을 F4 계통으로 전개 후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하여 2007년 생예, 2008년 생본시험을 실시한 후 쌀 품위가 좋으면서 밥맛이 우수하고 재배 안정성이 높은 YR23940-B-17-1-2 을 선발하여 “영덕51호”로 명명하였다. 2009년~2011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알이 아주 둥근 단원형 이면서 품위가 좋고 밥맛이 뛰어나며 내병성과 내도복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2011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 할 것을 결정하고 “대보”로 명명하여 적응지역인 동남부해안지, 중부 및 남부 평야, 남부중산간지에 보급하게 되었다. 출수기는 8월 14일로 “화성벼”보다 1일 늦은 중생종이며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 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많고 현미천립중도 22.8g으로 “화성벼”보다 약간 더 무겁다. 도정특성이 양호하면서 쌀알 모양이 아주 둥근 단원형이며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화성벼”보다 우수하다. 불시출수는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와 같은 수준이다. 잎도열병은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는 감수성이다. 쌀 수량성은 보통기재배 시 5.93MT/ha로 “화성벼” 보다 11% 증수되었고, 이모작 재배에서는 5.23MT/ha로 14%, 만식재배에서는 4.63MT/ha로 21% 증수 하였다. “대보”의 적응지역은 동해안냉조풍지, 중부 및 남부평야지, 남부중산간지이다.

저자
  • 김정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노봉(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주저자
  • 이지윤(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권오덕(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동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장재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여운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종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조준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유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장기창(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최경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오성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황운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김우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성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남민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