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산물우수관리제도 확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딸기농장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KCI 등재

Hazard Analysis for the Cultivation Stage of Strawberry Farms for Securing Preliminary Data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 (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f strawberry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syste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water, soil and air), and personal hygiene (hand, glove, and clothes) of three strawberry farms(A, B, and C) and were tested to analyze physical,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and foodborne pathogens) hazards. Physical hazards such as insects and pieces of metal and glass were found in the strawberry farms and can be potential bow for strawberry products. Heavy metal and pesticide residue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at levels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In case of biological hazards, tot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1.6~7.3 and 1.3~5.6 log CFU/g, leaf, mL, hand or 100 cm2. However,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uus aureus were detected at levels of ≤ 1.1~6.1 log CFU and 4.7~5.4 log CFU/g, mL, hand or 100 cm2, wherea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arious harzards were in strawberry farms at the growing stag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such as GAP is nee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the hazards revealed in this study.

저자
  • 이치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Chi-Yeop Lee
  • 이원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Won-Gyeong Lee
  • 송정언(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Jeong-Eon Song
  • 김경열(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Kyeong-Yeol Kim
  • 심원보(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Won-Bo Shim
  • 윤요한(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과) | Yo-Han Yoon
  • 김윤식(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un-Shik Kim
  • 정덕화(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uck-Hwa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