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보리 종실의 품종별(우호, 영양, 유연) 사료가치 평가 KCI 등재

The Nutritive Value of Grains from Barley Cultivars (Wooho, Youngyang, Yuy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가축용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 품종별 종실 3종(우호, 영양 및 유연)을 이용하여, 일반성분 및 각종 영양학적 가치분석을 통해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국내 농후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에너지 사료인 수입옥수수의 대체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고, 이와 함께 비교 할 수 있는 수입대두박(인도산)과 수입옥수수(미국산)를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조사에서 청보리 품종별 종실의 조단백질 함량은 옥수수에 비해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대두박에 비해 높았다. 대사에너지에서 청보리 품종별 종실이 옥수수 보다는 낮았지만 대두박 보다 높았다. 펩신 소화율(in-vitro)은 대두박이 가장 높았고, 옥수수와 청보리 품종별 종실은 유사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청보리 종실이 대두박와 옥수수에 비해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높고 불포화지방산과 필수지방산은 낮았다. 하지만, 오메가 3 지방산인 리놀렌산(18:3)은 옥수수에 비해 청보리 품종별 종실이 높았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청보리 품종별 종실의 Lycine 함량이 대두박에 비해 낮지만, 옥수수에 비해 높았으며, 무기질 함량에서는 청보리 품종별 종실이 대두박에 비해 낮았지만, 옥수수에 비해서는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청보리 종실은 수입옥수수를 대체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예상되며, 청보리 품종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함량과 Lysin 함량이 높고, 대사에너지 함량과 무기질 성분이 풍부한 삼차망(hood spike type)의 유연보리가 가장 좋은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ve value of grains from barley cultivars (wooho, youngyang and yuyeon) for substitution of the feedstuffs as corn and soybean meal. In results of proximately analysis, the crude prote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barley grains than in corn and the crude fat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barley grains than in soybean meal. The metabolism energy of barley grains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corn and it was higher (p<0.05) than soybean meal. The in vitro results of pepsin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soybean meal than in barley grains and corn, and it was similar barely grains with corn. Barley grain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e composi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than corn and soybean meal, while lower (p<0.05) the composition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essential fatty acidsin barley grain. The composition of linolenic acid, concentration of lysine and minera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barley grains than in corn, while lower (p<0.05) than soybean meal. Therefore, the barley grains is sufficient for substitution of corn. Moreover, the barley grain of yuyeon has high concentrations of crude protein, metabolism energy, lysine and minerals compared with barley grains of wooho and youngyang.

저자
  • 김회윤(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Hoi-Yun Kim
  • 추교문(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 | Gyo-Moon Chu
  • 김삼철(경상대학교 축산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m-Churl Kim
  • 하지희(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Ji-Hee Ha
  • 김종현(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Jong-Hyun Kim
  • 이성대(축산과학원 양돈과) | Sung-Dae Lee
  • 송영민(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Young-Min S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