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름철 버뮤다그라스, 클라인그라스 및 테프그라스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Bermudagrass, Teffgrass and Kleingrass as Annual Forage Crop in Summ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2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서 난지 형목초의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저 수분 저장 조사료 생 산에 적합한 여름철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난지형 목초의 생육특성,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 하여 충남 천안에서 2013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 행하였다.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Tifton 85”, “Cheyenne Ⅱ”, “Mohawk” 3품종, 테프그라스 “Tiffany”, “Emerald”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매 년 5월말부터 6월 초순 사이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 와 클라인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1~12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테프그라스는 파종 후 2일정도 소요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는 시험기간 동안 전혀 출수 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테프그라스는 7월 10일경, 클라인 그라스는 7월 24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난지형 목초 의 사초생산성은 버뮤다그라스 Tifton 85 품종의 건물 및 TDN 수량이 각각 13,159, 7,764 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테프그라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NDF와 ADF 함량은 초종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 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평균 11.5%로 난지형 목초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은 테 프그라스 Tiffany 품종이 6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초종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조사료 자 원으로 난지형 목초의 재배 및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였으 며, 월동이 가능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는 영년생 방목 초지용으로 활용성이 높고, 월동이 불가능한 중북부 지역 에서는 1년생 여름철 사료작물로 이용하는 것이 우리나라 에서 난지형 목초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13 to 2014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e cultivation of warm-season grass as an annual Korean forage crop, while concurrently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warm-season grass in Korea.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block design (RBD) with three replications. Five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L.) Pers.] cultivars, two teffgrass (Paspalum notatum Flugge) cultivars, and a Kleingrass [Panicum coloratum L.] cultivar were compared for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After seeding, the numbers of days until seedling emergence for bermudagrass and kleingrass were observed at approximately day 11 and day 12, respectively. The heading dates of teffgrass and kleingrass were on July 12 and July 26, respectively. The dry matter (DM) yield of bermudagrass Tifton 85 was usually greater than the other entries. The crude protein content (CPC) and total digestibility nutrient (TDN) for the teffgrass cultivars were usually greater than the other entries at all study sites.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were similar across all cultivars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기후 특성
  2. 난지형 목초의 생육특성
  3. 난지형 목초의 사초 생산성
  4. 난지형 목초의 사료가치
 Ⅳ. 요 약
 Ⅴ. 사 사
 Ⅵ. REFERENCES
저자
  • 박형수(국립축산과학원) | Hyung Soo Park Corresponding author
  • 최기춘(국립축산과학원) | Ki Choon Choi
  • 김지혜(국립축산과학원) | Ji Hea Kim
  • 이상훈(국립축산과학원) | Sang-Hoon Lee
  • 정종성(국립축산과학원) | Jong Seong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