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이벤트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Cultural Tourism Events for Korea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01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이벤트학연구 (Journal of Event Sciences)
한국이벤트학회 (Korean Academic Society Of Event Administration)
초록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그리고 사례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광 및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R&D투자를 확대해 경쟁력을 제고해야한다. 둘째,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여야 한다. 셋째, 이미지 전략으로써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특성화 지향을 통하여 장소의 역사성을 공간적으로 부각하며 점포별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딩과 디자인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넷째, 지속가능한 시장 운영관리 조직을 통한 경영 혁신으로써 디자인과 경영 컨설팅을 통한 전통시장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사회적 기업 조직을 통한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 조성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개방 공간의 조성과 문화 프로그램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함께 즐기는 축제로 발전시킨다. 여섯째, 지역 특산품을 세계적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구매심리 및 동선을 고려한 적절한 상품 배치를 통해 쇼핑의 편리성과 아울러 자연스러운 쇼핑을 유도한다. 일곱째, 시장 커뮤니티의 지역 결속력을 다지기 위하여 시장을 둘러싼 주체들의 의지와 파트너 쉽, 그리고 지역주민과 상인, 그리고 투자자들의 시장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성을 유도하며 시장 계획 및 운영 과정에서의 지역주민의 참여도(공간을 지키려는 주민의 결의와 단합)를 높이도록 한다. 또한 지속적인 상인 교육을 통하여 자발적인 노력을 유 도한다.

Our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now need to seek for a way out to pursue a gradual development in a macroscopic viewpoint, while carrying out their essential function and role. To attain such an objective, we need to initially revive their inherent culture and tradition, and convince of their value as the center of living regional culture. Further m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easures to optimize their status of tourism resources by giving additional worth to the original function.
This paper is to set up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 direction for Traditional Markets to proceed, by surveying cultural tourism events in Traditional Markets at home and abroad.

목차
Ⅰ. 머리말
 Ⅱ. 환경변화와 전통시장
  1. 소비환경의 변화
  2. 전통시장의 비전
 Ⅲ. 미래관광의 트랜드
  1. 대중문화관광(Culture)
  2. 체험학습관광(Edutainment)
  3. 마음치유관광(soul)
  4. 스마트 관광(Smart)
  5. 꿈을 파는 관광(Dream)
  6. 모두를 위한 관광(Fair)
  7. 핵심고객 관광(Core)
 Ⅳ. 전통시장의 문화적 접근
  1. 시장의 성장과 쇠퇴
  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의 활성화 가능성
 Ⅴ. 전통시장의 문화관광 이벤트 사례
  1. 국내
  2. 국외
 Ⅵ.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모델
  1. 전통시장의 문화적 활성화 사업의 배경과 유형
  2. 전통예술과 축제 이벤트를 통한 시장 활성화 사업
 Ⅶ. 방향제시 및 결언
  1. 방향제시
  2.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준호(대구미래대학교 호텔관광차문화과 부교수) | Lee, June-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