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산업 도시로의 전환은 도시 발전에 많은 도전 과제를 안겨주었 다. 이러한 배경에서 메가 이벤트는 다양한 측면에서 도시 발전에 긍정 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많은 도시들이 도시 발 전 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메가 이벤트를 활용한 도시 발 전의 긍정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사례를 분석한 다. ‘바르셀로나 모델’이라고도 불리는 메가 이벤트를 활용한 바르셀로나 도시 발전 전략의 핵심은 단순히 메가 이벤트를 활용한 지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바르셀로나 모델의 핵심은 도시 행정의 측면에서 도시 전문가, 도시 정치인, 도시 시민 단체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는 도 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장기적 발전 전략을 세우고, 메가 이 벤트를 도시 발전 전략으로 활용한 것에 있다. 많은 도시들이 바르셀로 나 모델의 성공 이후 이를 모방하였지만, 진작 바르셀로나 모델이 활용 한 메가 이벤트 유치와 개최에 제한적으로 주목한 경향이 높았다. 따라 서 본 연구는 1970년대 말~1990년대 초 사이 바르셀로나 모델을 구성하 는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시 거버넌스의 구성과 메가 이벤트의 운영 방식에 따라 도시 발전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 연구는 20세기 말 이후 중국과 남한의 올림픽 포스터 디자인에서 두드러진 특징과 미묘함을 분석하고 비교합니다. 시각적 표현, 문화적 함 의, 그리고 그들의 사회-역사적 맥락 내의 의사소통 전략을 탐구합니다. 이 연구는 양국이 어떻게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디자인을 독특하게 혼합 하여 국가 정신과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며, 대중의 인식과 감정에 영 향을 주는지를 밝혀냅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뒤에 있는 사회-정치적 동기를 논의하며 미래의 추세를 예상합니다. 이 분석은 중국과 한국의 포스터 디자인의 독특한 가치와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의 역할에 대한 새 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교통사고는 인적요인, 도로 기하구조, 교통류, 환경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속도는 교통사고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또한, 교통사고는 교통 혼잡도와 관련이 있으며 사고와 실시간 교통상황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사고 발생 개연성을 추정하고 도 로 안전성 분석이 필요하다. 모바일 센서와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스마트폰 보급률이 증가하였으며 내장된 센서를 기반으로 생성된 차량 주행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 수집이 쉬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수집된 위험 운전 이벤트를 활용한 도로 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센서 기반의 위험 운전 이벤트 데이터 중 하나인 급감속 위험 운전 이벤트 데이터를 도로 위험도 평가 기법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급감속 위험 운전 이벤트 데이 터는 주행 차량이 3초간 속도를 40km/h 이상 감소하는 위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시간과 위치를 기록한 자료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대한민국 내 인구와 교통량이 많은 지역인 수도권을 대상으로 서울, 경기, 인천을 연결하는 고리 형태의 도로인 수도권제1순환 선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개별 차량 데이터는 좌표 기반의 내비게이션 데이터로 집계하여 VDS 링크 데이터와 매칭하였다. 다음으 로는 개별 차량의 위험 운전 이벤트 데이터와 차량 검지기의 교통 매개변수를 결합한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시·공간적 교 통류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도로 위험도 평가 방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험 운전 지표와 이력 자료를 기반으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시간 단위의 집계 수준을 활용하여 도로 구간별 최적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센서를 기반으로 식별한 개별 차량의 위험과 교통류 차원의 위험을 결합하여 새로운 위험 지표를 개발하고 도로 위 험도 평가에 활용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과물은 향후 스마트폰 센서 기반 개별 차량 위험 운전 이벤트 데이터와 교통 조건을 통 합하는 도로 위험도 평가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most of the information system use environment is changing to GUI environment based on windows and web. Most of the development tools for building such a GUI-based information system support object-oriented and event-driven programming concep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a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systematically supports event-base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From a business perspective, an information system is one that supports business process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These business processes are composed of business activities which involve a series of business events. A business event is executed according to a business scenari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se events in the requirements analysis stage and to apply it on the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However,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methodology which systematically reflect the event processing concept still is insufficient.
From this viewpoint, this paper proposes an event-driven scenario-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can meet the recent development environment of information systems, and applies the proposed methodology to a small scale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cas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error and maintain the health of system, an administrator usually analyzes event log data since it contains useful information to infer the cause of the error. However, because today’s systems are huge and complex, it is almost impossible for administrators to manually analyze event log files to identify the cause of an error. In particular, as OpenStack, which is being widely used as cloud management system, operates with various service modules being linked to multiple servers, it is hard to access each node and analyze event log messages for each service module in the case of an error. For thi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ssage-based log analysis method that enables the administrator to find the cause of an error quickly. Specifically, the proposed method 1) consolidates event log data generated from system level and application service level, 2) clusters the consolidated data based on messages, and 3) analyzes interrelations among message groups in order to promptly identify the cause of a system error.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root cause of the error can be identified by collecting event logs of both system level and application service level and analyzing interrelations among the logs. Second, administrators do not need to classify messages for training since unsupervised learning of event log messages is applied. Third, using Dynamic Time Warping, an algorithm for measuring similarity of dynamic patterns over time increases accuracy of analysis on patterns generated from distributed system in which time synchronization is not exactly consistent.
For increase the game speed, game systems apply a multi-threading. The popularization of multi-core system accelerates multi-threading also. Multi-threading brings high performance, but this is not ease to apply the game logic. Because many multi-core system share the memory, if two or more threads access the same memory region, they can be conflicted. Multi-threading uses Lock method to prevent the conflict, but Lock method reduces the performance. For increase the performance, programmer can use Lock-Free method. In this case, we found strange phenomenon that Lock-Free queue operates incorrectly, and this phenomenon has been accelerated by number of thread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put output of the Lock-Free Queue in multi-core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oil CO2 emission characteristic due to rain fall pattern and intensity changes. Us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hambers (AOCCs), we have measured annual soil respiration changes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xperimental forest in Mt. Taehwa. In addition, we have monitored heterotrophic respiration at trenching sites (4×6 m). Based on the one year data of soil respiration and heterotrophic respiration, we observed that 24% of soil respiration was derived from root respiration. During the rainy season (end of July to September), soil respiration at trenching site and trenching with rainfall interception site were measure during portable soil respiration analyzer (GMP343, Vaisala, Helsinki, Finland). Surprisingly, even after days of continuous heavy rain, soil water content did not exceed 20%. Based on this observation, we suggest that the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is about 20%, and relatively lower soil water contents during the dry season affect the vital degree of trees and soil microbe. As for soil respiration under different rain intensity, it was increased about 14.4% under 10 mm precipitation. But the high-intensity rain condition, such as more than 10 mm precipitation, caused the decrease of soil respiration up to 25.5%.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ttern of soil respiration can be regulated by not only soil temperature but also due to the rain fall intensity.
Global luxury jewelry brands had begun to launch their direct businesses in Korea since the 1990s, and have attained fast growth by holding events reflecting their philosoph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ir growth by examining the types and roles of events in Korea held by luxury jewelry brand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about domestic events of Tiffany & Co., Cartier, Bvlgari, Chaumet, and Van Cleef & Arples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13. Also, theoretical study was re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vent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jewelry exhibitions, jewelry shows, wedding fairs, and hybrids. The roles of such events were, first, the artification of products and, second, the contemporization of tradi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luxury jewelry brands transmitted new emotions and values to their customers through their events in Korea, and extended their influence continuously over the Korean high-end jewelry market.
오늘날 정보화, 세계화, 지방화로 축약되는 세계사적 문명전환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로 지식기반경제의 문화콘텐츠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잠시나마 주춤하던 이벤트 산업이 지역의 문화산업(축제와 관광)에 새로운 역할과 기능의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이벤트가 산업의 장르를 막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다시 활약할 수 있었던 것은 이벤트가 갖고 있는 특성으로, 원초적인 자극과 체험을 통한 오감 만족이기 때문이다. 그 원초적 자극과 체험이야말로 디지털시대에 대중을 감동시키는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뉴미디어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중요한 이벤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이벤트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창조경제시대 문화융합의 선도적 역할로서 이벤트를 통한 창조경제 구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그리고 사례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광 및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R&D투자를 확대해 경쟁력을 제고해야한다. 둘째,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여야 한다. 셋째, 이미지 전략으로써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특성화 지향을 통하여 장소의 역사성을 공간적으로 부각하며 점포별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딩과 디자인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넷째, 지속가능한 시장 운영관리 조직을 통한 경영 혁신으로써 디자인과 경영 컨설팅을 통한 전통시장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사회적 기업 조직을 통한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 조성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개방 공간의 조성과 문화 프로그램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함께 즐기는 축제로 발전시킨다. 여섯째, 지역 특산품을 세계적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구매심리 및 동선을 고려한 적절한 상품 배치를 통해 쇼핑의 편리성과 아울러 자연스러운 쇼핑을 유도한다. 일곱째, 시장 커뮤니티의 지역 결속력을 다지기 위하여 시장을 둘러싼 주체들의 의지와 파트너 쉽, 그리고 지역주민과 상인, 그리고 투자자들의 시장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성을 유도하며 시장 계획 및 운영 과정에서의 지역주민의 참여도(공간을 지키려는 주민의 결의와 단합)를 높이도록 한다. 또한 지속적인 상인 교육을 통하여 자발적인 노력을 유 도한다.
그동안 예술경영에 대한 마케팅적 접근의 부족과 공연과 예술에 관련된 연구동향이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이라는 예술문화의 산업화 관점에서 공연이벤트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공연이벤트 관객의 시장세분화를 위해 심리적 변수인 정서적 체험에 대한 관객특성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공연이벤트에 관객들이 기대하는 정서적 체험의 13가지 속성은 '예술성'과 '이벤트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고, '예술성' 체험보다는 '이벤트' 체험에 대한 기대가 높아서 향후 공연이벤트의 '이벤트성'을 부각시킬 노력이 요구된다. 연구 결과 공연이벤트 최적의 표적시장은 '20-30대 고소득층의 대학생과 사무직으로서 영화관람과 여행을 좋아하는 집단'이었다. 그리고 관객특성에 따라 정서적 체험의 기대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모든 변수에서 채택되었다. 각 분석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특성에 따라 공연이벤트의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에 접근한다면 공연이벤트 마케팅과 경영에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비교적 실증분석이 부족한 예술분야에서 공연을 대상으로 마케팅적 관점에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이며, 공연이벤트의 정서적 체험에 대한 요인을 밝혔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무적 의의는 공연이벤트 경영을 위한 관객특성에 따른 차이를 밝혀 관객개발 STP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계점으로는 대학로라는 단일지역에서 주말에 조사됨으로써 조사대상의 편향성으로 일반화가 어렵다는 것이다. 응답자의 특성이 20대와 학생에 편중되었다는 문제와 정서적 체험을 기대차원에서만 밝혀 실제 체험후의 결과를 밝히지 못했다는 점이다. 후속연구를 통해서 이러한 한계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연이벤트 특성의 스폰서십갈등관리전략의 연구자별 연구를 통하여 각 개념을 정립한 후, 공연이벤트 스폰서십갈등관리 요인과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를 요약해보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한 가설은 공연이벤트특성은 스폰서십갈등관리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스폰서십 갈등요인으로 설정된 이벤트, 재정적 지원, 목표달성, 사업적 관계, 커뮤니케이션, 마케팅서비스의 특성은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연이벤트, 스폰서십갈등관리 특성에 대한 타당성 검증의 최종문항 선택은 요인적재량이 0.5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공연이벤트 특성에 대한 공통요인들의 크론바하의 알파 값은 0.7285 0.8574로서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연구모형에서 종속변수인 정서적 이미지에 대한 크론바하의 알파 값도 0.9524 0.9180으로 매우 우수한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결과변수인 공연이벤트 스폰서십에 대한 관계성과의 크론바하의 알파 값은 0.8677 0.8795로서 매우 좋은 결과를 보이므로, 본 연구모형을 통해 잠재적인 요인구조를 설명할 문항들은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공연이벤트(공연기획) 예술경영학문은 아직 초기의 단계의 단계에 있으므로 학문적 완성도가 높지 않다는 것이 지적되며, 본 연구 결과가 많은 시사점을 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이벤트의 스폰서십갈등관리전략에 관한 연구는 논제가 복합적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어 각각의 정의가 광범위하다보니 연구의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공연이벤트와 스폰서십의 관계성과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신뢰, 몰입의 요소를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측정요소를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화하게 할 필요가 제기된다. 공연이벤트 스폰서십의 관계성과에 대한 스폰서와 피 스폰서의 인식 차이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공연이벤트 스폰서십을 통해 발생하는 스폰서의 심리적 변인과 실체적 결과에 대한 명확한 측정요소의 개발이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후속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본 논문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성과를 이루기를 기대한다.
다양한 해양활동의 증가와 각종 해양이벤트로 해양에서의 경비영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행사에 공경비 체제만으 로는 고품질의 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여수 엑스포 등 해양 행사에 민간해양경비수요를 탐색해 보고 해양의 특수 성을 고려해서 해양경비임무를 유기적으로 보조하고 분담할 수 있는 민간해양경비전문가 양성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민간영역 에서 해양의 공경비를 보조하고 있는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의 대표적 해상구조봉사단체를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