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화문의 하드웨어 적용에 따른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of the Hardware-enforced Fire Do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3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양여닫이 방화문은 평상시 자동 폐쇄장치에 의하여 정상적인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경우에는 화재감지기 신호에 의하여 즉시 닫히는 방식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방화구획에 설치되어 있는 양여닫이 방화문은 수동형 플러쉬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화재시에 피난자가 문을 열고 대피한 후 자동 잠금이 되지 않아 자동폐쇄장치의 힘으로만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닫히는 구조로 개발된 매립형 방화문은 자동폐쇄장치만 설치하고 플러쉬볼트를 설치하지 않고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이 방화문이 방화구획에 설치될 경우 화재시 생성되는 압력 및 폭발 등으로 인해 문이 개방되어 화재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므로 플러쉬 볼트 등 방화문의 하드웨어 적용에 대한 검증 및 위험성이 확인 될 경우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양여닫이 방화문의 하드웨어 적용에 따른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화재위험성을 검토함으로써 방화문의 내화성능에 대한 검증 및 향후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자
  • 최동호(정회원,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방내화팀 수석연구원) | Choi, Dong-ho 교신저자
  • 서희원(정회원,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방내화팀 책임연구원) | Seo, Hee-won
  • 강은수(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방내화팀 책임연구원) | Kang, Eun-soo
  • 왕남웅(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방내화팀 책임연구원) | Wang, Nam-wo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