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서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기원 연구 KCI 등재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6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제주도 서부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기 위해 이곳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중국의 황하와 양자강 그리고 한국의 강 퇴적물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지역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3.6∼8.5φ 범위의 조립질실트 퇴적상으로 구성되며 탄산염 함량은 0.92∼9.75%(평균 3.65%)범위를 갖는다. 총유기탄소와 총질소(TN)의 비율(평균 9.4)에서 연구지역의 유기물은 육성 기원보다 해양성 기원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주성분 원소들의 공간분포에서 Fe/Al, Mn/Al, Ti/Al의 함량비는 양자강 하구역과 가까운 남서쪽 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 양자 기원 물질이 연구지역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추론케한다. 연구지역 퇴적물의 Sc/Al 대 Cr/Th, Th/Sc 대 Nb/co, Ti/Nb 대 Th/Sc의 지화학적 구분지수는 황하와 양자강가원 퇴적물을 구분해 주는 유용한 지화학적 지시자로 제시될 수 있었다. 연구지역의 서쪽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퇴적물은 황하기원 퇴적물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고 양자강 하구역과 가까운 남서쪽 지역의 퇴적물은 양자강기원 퇴적물과 유사성을 보였으며, 북동쪽 지역에 분포하는 퇴적물 시료는 다른 지역 퇴적물 보다 높은 비 값을 보여, 따라서 제주도 서부해역은 복합기원 퇴적물이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o discriminate the provenance of shelf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the textual and element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ediments originating from Changjiang and Huanghe Rivers of China and the Korean (Keum) River.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re composed of coarse silt with a mean pain size of 3.6∼8.5φ and their CaCO3 contents ranged from 0.92 to 9.75 wt.%. The ratios of TOC over total nitrogen (TN) showed that the study area sediments contained more organic matters of marine origin than those of terrigenous origin. The high concentration of Fe/Al, Ti/Al and Mn/Al figures were found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g esturay, indicating that it seemed to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the Changjiang River. The discrimination diagrams including Sc/Al vs Cr/Th, Th/Sc vs Nb/Co and Ti/Nb vs Th/Sc were thus used as provenance indicators to identify the sediment origins of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Based on these discriminated diagrams it clearly showed that most of the sediment in the western part were originated from the Huanghe River, but th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g esturay might come from the Changjiang River. In contrast, the sediment samples of the northeastern part showed the higher figures than those of the river sediments and other regions, suggesting that th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must be originated from diverse sources.

저자
  • 윤정수(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Youn, Jeung-Su
  • 김태정(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