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온기 차광조건이 ‘자랑’ 및 ‘흑보석’ 포도의 광합성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he Shading Conditions on the Photosynthesis and Fruit Quality of ‘Jarang’ and ‘Heukboseok’ Grape at High Temperature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1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30oC 이상 고온기 포도 착색장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차광 정도에 따른 포도 광합성과 과실특성 및 품질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국내육성 ‘자랑’과 ‘흑보석’ 포도를 가지고 수행하였다.
1. ‘자랑’ 포도는 오전 10시 무처리 대비 차광 30%에서 오전에는 5.1 μmolCO2·m-2·s-1, 오후에는 9.4 μmolCO2·m-2·s-1 광합성률이 높아 오전부터 차광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흑보석’ 포도는 무처리 대비 오전 10시에 –3.1 μmolCO2·m-2·s-1로 광합성률이 저하하고, 오후에 7.6 μmolCO2·m-2·s-1 광합성률이 증가하여 오후 고온에서 30% 차광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차광 30%와 50% 처리간에는 광합성률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자랑’ 포도를 10시부터 17시까지 평균온도는 무처리 대비 30% 차광 엽온은 4.2oC, 50% 차광 엽온은 4.8oC 낮았으며, ‘흑보석’ 포도는 10시부터 16시까지 평균온도는 무처리 대비 30% 차광 엽온은 4.1oC, 50% 차광 엽온은 4.9oC 낮았다. 두 품종 모두 무처리와 차광 처리간의 범위는 4.8 ~ 4.9oC로 차광이 엽온 저하에 효과적이었으며, 차광처리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과실 특성에 있어서는 ‘자랑’과 ‘흑보석’ 포도의 과실중, 당함량, 산도는 무처리구와 인공차광 처리구 간 유의성이 있었다. 하지만 과방길이, 직경, 과립수는 처리구 사이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자랑’ 포도 안토시아닌은 무처리 28.88 μg/cm2 대비 차광 30%가 42.8 μg/cm2로 1.5배 높았으며 명도(L)은 차광 처리에서 낮고, 적색도(a)는 무처리가 높으며, 황색도(b)는 차광 처리에서 낮으나, 차광처리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흑보석’ 포도는 안토시아닌, 명도(L), 황색도(b)는 처리 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적색도(a)는 차광 30%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나, 차광 처리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reduce the coloring disorder and artificial shading from photosynthesis, and to improve the fruit quality in the summer season, of domestic grape cultivars(Jarang and Heukboseok). For the Jarang cultivar, artificial shade was effective in the morning, because of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st (9.4 μmolCO2·m-2·s-1) in the afternoon a lower rate at 10 a.m(5.1 μmolCO2·m-2·s-1) in 30% artificial shade. For the tetraploid Heukboseok cultivar, the photosynthetic rate was lower in the morning (−3.1 μmolCO2·m-2·s-1) than in the afternoon (7.6 μmolCO2·m-2·s-1). Photosynthetic rat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30% and 50% artificial shade. The average leaf temperatures of the untreated control plots of Jarang(at 30% 4.2oC, at 50% 4.8oC) and Heukboseok(at 30% 4.1oC, at 50%4.9oC) were higher between 10 a.m. and 4 p.m. in the plastic greenhouse and were lower at 30% artificial shade (4.1oC, respectively) than at 50% artificial shade (4.9oC). As for the fruit characteristics, fruit weight,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pot and artificial shade in ‘Jarang’ and ‘Heukboseok’ grapes. But cluster length, diameter, and berry numb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ed groups. The anthocyanin of Jara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plot (28.88 μg/cm2) at 30% artificial shade (42.8 μg/cm2) The value lightness (L) and yellow chromaticity (b) was found to be lower at 30% artificial shade, and the red chromaticity (a) was highest at the control. The differences in the anthocyanin and value lightness (L). Heukboseok were not significan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d chromaticity(a) at 30% artificial shade and in value lightness (L), the yellow chromaticity (b) at 30 and 50% artificial shades.

저자
  • 이석호(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Seok-Ho Lee Corresponding author
  • 송명규(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Myung-Kyu Song
  • 최원호(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Won-Ho Choi
  • 이윤상(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Yoon-Sang Lee
  • 홍성택(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Seong-Taek Hong
  • 정성민(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Sung-Min Jung
  • 노정호(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Jung-Ho Noh
  • 남종철(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Jong-Chul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