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입자도와 초고압 처리에 따른 더덕의 외피와 육질의 항산화 활성 KCI 등재

Effect of Particle Size and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kin and Flesh of Deodeok (Condonopsis lanceol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실험은 초고압과 입자도 차이에 따른 더덕의 외피와 육질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진행하였다. 외피의 경우 입자도 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유의 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육질의 경우에는 입자도 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유의 차가 나타났다. 초고압 하에서 실시한 더덕 외피에서는 입자도간 항산화 활성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육질에서는 초고압 처리한 압력에 따라 또한 측정한 항산화 성분에 따라 입자도 간에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시료를 구성하는 물질이 서로 다른 경도를 지니고 있어서 내부저항에 차이가 생기는 것에 기인하며 초고압 처리가 내부저항에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기인되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이 같은 결과로 더덕을 외피와 육질을 분리하지 않은 채 입자도 영향을 분석할 경우 입자의 크기가 큰 영역에 항산화도가 높은 외피가 많이 분포되어 오히려 항산화도가 높음을 관찰하였다.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high pressur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kin and flesh of deodeok (Condonopsis lanceolata) were studied. The deodeok powder was prepared by different particle sizes, such as 20-40 mesh, 40-60 mesh, and below 100 mesh. High pressure was applied at 250 MPa and 450 MPa for 10mi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enol, DPPH, and reduction power. According to the mass transfer theory, the diffusion rat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article sizes of the solute. However, high extraction rate was observed from the large particle size (20-40 mesh) of the powder prepared by the whole deodeok which included both skin and flesh. When the powders were separately prepared by skin and flesh, the extraction rate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article size. The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sk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lesh (p<0.05). High pressure treatment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esh dramatically. The result of study indicated that the by-product of deodeok was a useful resource to obtain the antioxidants.

저자
  • 홍윤기(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Yoon-Ki Hong
  • 안주희(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생물의소재공학과) | JuHee Ahn
  • 윤원병(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Won Byong Yoon Corresponding author